맥락막 신생혈관: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27 바이트 추가됨 ,  2021년 6월 2일 (수)
잔글
편집 요약 없음
잔글 (Smile님이 맥락막 신생 혈관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맥락막 신생혈관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잔글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맥락막 신생 혈관 (choroidal neovascularization; CNV)
'''맥락막 신생 혈관 (choroidal neovascularization; CNV)'''{{망막}}
== 분류 ==
== 분류 ==
* 전형 (classic) 맥락막 신생 혈관 : 형광 초기에 경계가 분명한 과형광이 나타나며, 중기, 후기로 가면서 과형광이 증가하여 후기에는 초기에 나타난 부위의 경계를 넘어서는 형광 물질의 누출이 일어난다. 초기에 명확한 경계의 과형광을 보일 수 있는 다른 병변은 장액성 망막 색소 상피 박리와 망막 색소 상피 파열 이며 두 질환 모두 후기에서 초기에 보이던 과형광의 경계를 넘는 누출이 관찰되지 않는다.
* 전형 (classic) 맥락막 신생 혈관 : 형광 초기에 경계가 분명한 과형광이 나타나며, 중기, 후기로 가면서 과형광이 증가하여 후기에는 초기에 나타난 부위의 경계를 넘어서는 형광 물질의 누출이 일어난다. 초기에 명확한 경계의 과형광을 보일 수 있는 다른 병변은 장액성 망막 색소 상피 박리와 망막 색소 상피 파열 이며 두 질환 모두 후기에서 초기에 보이던 과형광의 경계를 넘는 누출이 관찰되지 않는다.
8번째 줄: 8번째 줄:
=== [[안저 자가 형광]] ===
=== [[안저 자가 형광]] ===
황반 변성의 초기 신생 혈관에서는 형광 안저에서 고형광을 보이는 자리에서 정상 자가 형광을 보이는 경향이 있다. 이는 병의 초기에는 망막 색소 상피 세포가 생존해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반면 진행된 신행 혈관의 경우 자가 형광이 감소하여 시수용체가 소실되었거나 멜라닌이 증가한 반흔 (scar) 형성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자가 형광 사진에서 비정상으로 보이는 범위가 형광 안저 촬영에서 보이는 범위를 넘어서는 경우가 전형적이다. 병변 주변의 증가된 자가 형광은 맥락막 신생 혈관 주변의 망막 색소 상피 세포의 증식을 암시한다.
황반 변성의 초기 신생 혈관에서는 형광 안저에서 고형광을 보이는 자리에서 정상 자가 형광을 보이는 경향이 있다. 이는 병의 초기에는 망막 색소 상피 세포가 생존해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반면 진행된 신행 혈관의 경우 자가 형광이 감소하여 시수용체가 소실되었거나 멜라닌이 증가한 반흔 (scar) 형성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자가 형광 사진에서 비정상으로 보이는 범위가 형광 안저 촬영에서 보이는 범위를 넘어서는 경우가 전형적이다. 병변 주변의 증가된 자가 형광은 맥락막 신생 혈관 주변의 망막 색소 상피 세포의 증식을 암시한다.
{{참고}}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