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 황반부종: 두 판 사이의 차이

9 바이트 추가됨 ,  2021년 6월 2일 (수)
23번째 줄: 23번째 줄:
# 안저 검사 만으로는 파악하기 어려운 망막 외층의 부종, [[망막하액]], 유리체 황반 견인 등을 보여줌으로써 치료 방향의 설정에 도움이 된다.
# 안저 검사 만으로는 파악하기 어려운 망막 외층의 부종, [[망막하액]], 유리체 황반 견인 등을 보여줌으로써 치료 방향의 설정에 도움이 된다.
== 비수술적 치료 ==
== 비수술적 치료 ==
* 비스테로이드 항염증제 점안액
* 비스테로이드 항염증제 (NSAIDs) 점안액
* 유리체강 내 스테로이드 주사
* 유리체강 내 스테로이드 주사
* 유리체강 내 anti-VEGF 주사 : 망막 허혈로 인하여 망막 조직에서 분비된 VEGF는 혈관 누출과 황반 부종을 일으키는 가장 강력한 체액 인자이다. 당뇨 황반 부종에서 ranibizumab, bevacizumab, aflibercept, pegatanib 등의 anti-VEGF를 유리체강 내에 주사함으로써 시력 예후를 개선할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아울러 이러한 약제 주사에 따른 안전성 문제도 어느 정도 규명되었다.
* 유리체강 내 anti-VEGF 주사 : 망막 허혈로 인하여 망막 조직에서 분비된 VEGF는 혈관 누출과 황반 부종을 일으키는 가장 강력한 체액 인자이다. 당뇨 황반 부종에서 ranibizumab, bevacizumab, aflibercept, pegatanib 등의 anti-VEGF를 유리체강 내에 주사함으로써 시력 예후를 개선할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아울러 이러한 약제 주사에 따른 안전성 문제도 어느 정도 규명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