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 황반부종: 두 판 사이의 차이

323 바이트 추가됨 ,  2021년 6월 2일 (수)
잔글
잔글 (→‎분류)
9번째 줄: 9번째 줄:
* 국소 (focal) 황반 부종 : 대부분 미 세혈관류로부터의 누출이 원인이며 윤상의 지단백 축적을 통반한 경우가 많다.  
* 국소 (focal) 황반 부종 : 대부분 미 세혈관류로부터의 누출이 원인이며 윤상의 지단백 축적을 통반한 경우가 많다.  
* 확산 (diffuse) 황반 부종 : 보다 광범위한 혈액망막장벽의 파괴를 반영하며 모세 혈관내피세포의 투과성 증가에 따른 미세 혈관류 모세혈관 망막 세동맥에서의 광범위한 누출이 주된 원인이나 때로는 망막 색소상피의 배출 기능이상도 관여한다.
* 확산 (diffuse) 황반 부종 : 보다 광범위한 혈액망막장벽의 파괴를 반영하며 모세 혈관내피세포의 투과성 증가에 따른 미세 혈관류 모세혈관 망막 세동맥에서의 광범위한 누출이 주된 원인이나 때로는 망막 색소상피의 배출 기능이상도 관여한다.
* 낭포 (cystoid) 황반 부종 : 삼출물의 융합에 의해서 발생한다.
* 낭포 (cystoid) 황반 부종 : 염증 반응을 인해 혈액-망막 장병이 손상되고 모세혈관 누출이 발생하여 세포외액이 축적되고 이로 인해 망막 부종이 발생하는 형태이다. 염증 반응으로 인해 증가된 프로스타글란딘이 혈관의 확장과 혈액-망막 장벽의 손상에 따른 혈관 투과성 증가를 유도하여 부종을 유발한다.
=== 임상적으로 유의한 황반 부종 (CSME) ===
=== 임상적으로 유의한 황반 부종 (CSME) ===
# 황반 중심으로부터 500㎛ 이내에 망막이 두꺼워져 있을 때
# 황반 중심으로부터 500㎛ 이내에 망막이 두꺼워져 있을 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