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심 장액 맥락망막병증: 두 판 사이의 차이

147 바이트 추가됨 ,  2021년 6월 3일 (목)
잔글
4번째 줄: 4번째 줄:


== 병태 생리 ==
== 병태 생리 ==
일차 병소가 맥락막인지 망막 색소상피 이상인지, 또는 국소 병소인지 전반적으로 퍼져 있는 이상인지에 대해서는 아직 논란의 여지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맥락막 혈관의 비정상적인 투과성 증가와 맥락막의 비후로 인한 망막 색소상피층의 기능 이상으로 인한 망막하액의 발생이 병의 기전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차 병소가 맥락막인지 망막 색소상피 이상인지, 또는 국소 병소인지 전반적으로 퍼져 있는 이상인지에 대해서는 아직 논란의 여지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맥락막 혈관의 비정상적인 투과성 증가와 맥락막의 비후로 인한 망막 색소상피층의 기능 이상으로 인한 망막하액의 발생이 병의 기전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ref>Imamura Y et al. EDI OCT of the choroid in CSC. Retina. 2009 Nov-Dec;29(10):1469-73. [https://pubmed.ncbi.nlm.nih.gov/19898183/ 연결]</ref>.


== 위험 인자 ==
== 위험 인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