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심 장액 맥락망막병증: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614 바이트 추가됨 ,  2021년 6월 3일 (목)
잔글
50번째 줄: 50번째 줄:
=== 스피로놀락톤 (spironolactone) ===
=== 스피로놀락톤 (spironolactone) ===
최근 동물 실험을 이용한 Zhao et al<ref>Zhao M et al. Mineralocorticoid receptor is involved in rat and human ocular chorioretinopathy. J Clin Invest. 2012 Jul;122(7):2672-9. [https://pubmed.ncbi.nlm.nih.gov/22684104/ 연결]</ref>의 연구에서, 저자들은 쥐의 눈에 코르티코스테로이드를 유리체강 내로 주사하여 광물 코르티코이드 수용체의 활성에 의한 맥락막 혈관의 반응을 확인하고자 하였고, 맥락막 혈관들의 혈관 확장과 유출을 조절하는 경로에 코르티코이드 수용체가 주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 규명되었다. 이를 근거로 스피로놀락톤으로 대표되는 광물코르티코이드 수용체 길항제를 이용한 CSC 치료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스피로놀락톤이 망막하액의 감소와 시력개선에 효과가 있음이 보고되고 있다<ref>한재용 외, 중심 장액 맥락망막병증 환자에 대한 스피로놀락톤의 치료 효과 및 안전성, JKOS 2020;61(11):1311-1321 [https://www.jkos.org/upload/pdf/jkos-2020-61-11-1311.pdf 연결]</ref>.
최근 동물 실험을 이용한 Zhao et al<ref>Zhao M et al. Mineralocorticoid receptor is involved in rat and human ocular chorioretinopathy. J Clin Invest. 2012 Jul;122(7):2672-9. [https://pubmed.ncbi.nlm.nih.gov/22684104/ 연결]</ref>의 연구에서, 저자들은 쥐의 눈에 코르티코스테로이드를 유리체강 내로 주사하여 광물 코르티코이드 수용체의 활성에 의한 맥락막 혈관의 반응을 확인하고자 하였고, 맥락막 혈관들의 혈관 확장과 유출을 조절하는 경로에 코르티코이드 수용체가 주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 규명되었다. 이를 근거로 스피로놀락톤으로 대표되는 광물코르티코이드 수용체 길항제를 이용한 CSC 치료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스피로놀락톤이 망막하액의 감소와 시력개선에 효과가 있음이 보고되고 있다<ref>한재용 외, 중심 장액 맥락망막병증 환자에 대한 스피로놀락톤의 치료 효과 및 안전성, JKOS 2020;61(11):1311-1321 [https://www.jkos.org/upload/pdf/jkos-2020-61-11-1311.pdf 연결]</ref>.
이전의 몇몇 보고에서 경구 스피로놀락톤 투여 후 피로감, 현기증, 위장관 통증 및 고칼륨혈증 등의 부작용이 보고된 바 있으며<ref>Daruich A et al. Oral Mineralocorticoid-Receptor Antagonists: Real-Life Experience in Clinical Subtypes of Nonresolving CSC with Chronic Epitheliopathy. Transl Vis Sci Technol. 2016 Mar 4;5(2):2. [https://pubmed.ncbi.nlm.nih.gov/26966638/ 연결]</ref>, 한 연구에서는 여성형 유방과 혈청 크레아티닌의 증가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부작용들은 약제 중단 후 별다른 치료 없이 모두 호전되었다.


=== 레이저 광응고 ===
=== 레이저 광응고 ===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