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절 맥락막 혈관병증: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278 바이트 추가됨 ,  2021년 6월 4일 (금)
잔글
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결절 맥락막 혈관병증 (polypoidal choroidal vasculopathy; PCV)''' 은 과거에는 50~60대 흑인 여자에서, 시신경유두 이측 주변의 맥락막 이상혈관으로부터 반복적인 출혈, 삼출 병변이 생기는 매우 드문 질환으로 알려졌다. 진단 범위가 넓어지게 되면서, 유색 인종에 많기는 하지만 모든 인종에서, 성별에 관계 없이 발생하며, 발생 위치도 이측 시신경유두보다는 황반이 더 많고 드물게는 주변부에서도 생길 수 있다는 것이 알려졌다.
'''결절 맥락막 혈관병증 (polypoidal choroidal vasculopathy; PCV)'''{{망막}} 습성 [[나이 관련 황반 변성]]의 아형으로, Yannuzzi et al<ref>Yannuzzi LA et al. Idiopathic polypoidal choroidal vasculopathy (IPCV). Retina. 1990;10(1):1-8. [https://pubmed.ncbi.nlm.nih.gov/1693009/ 연결]</ref>이 1990년에 최초로 언급하였다. 과거에는 50~60대 흑인 여자에서, 시신경유두 이측 주변의 맥락막 이상혈관으로부터 반복적인 출혈, 삼출 병변이 생기는 매우 드문 질환으로 알려졌다. 진단 범위가 넓어지게 되면서, 유색 인종에 많기는 하지만 모든 인종에서, 성별에 관계 없이 발생하며, 발생 위치도 이측 시신경유두보다는 황반이 더 많고 드물게는 주변부에서도 생길 수 있다는 것이 알려졌다.
== 역학 ==
== 역학 ==
발생 연령은 [[나이 관련 황반 변성]]과 비슷하지만, 좀 더 젊은 나이에 발생하기도 하며, 남자에서 조금 더 자주 발생한다.<br /><span style='color:blue;'>흑인과 동양인 등 유색 인종에서 호발</span>하는데, 동양인에서 노년층에서의 출혈, 삼출 병변의 약 30~50%를 차지하며, 서양인에서는 약 10%를 차지한다. 동양인에서는 황반형이 거의 대부분이며, 서양인에서도 황반형이 많기는 하지만 시신경유두 주위형이 상대적으로 많은 비율을 차지한다. 양안성 경향은 20~30%까지 보고되고 있으며, 고혈압과 연관이 있다는 보고도 있다.
발생 연령은 [[나이 관련 황반 변성]]과 비슷하지만, 좀 더 젊은 나이에 발생하기도 하며, 남자에서 조금 더 자주 발생한다.<br /><span style='color:blue;'>흑인과 동양인 등 유색 인종에서 호발</span>하는데, 동양인에서 노년층에서의 출혈, 삼출 병변의 약 30~50%를 차지하며, 서양인에서는 약 10%를 차지한다. 동양인에서는 황반형이 거의 대부분이며, 서양인에서도 황반형이 많기는 하지만 시신경유두 주위형이 상대적으로 많은 비율을 차지한다. 양안성 경향은 20~30%까지 보고되고 있으며, 고혈압과 연관이 있다는 보고도 있다.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