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656
번
잔글편집 요약 없음 |
잔글 (→기전) |
||
12번째 줄: | 12번째 줄: | ||
== 기전 == | == 기전 == | ||
기전과 결과에 대해서는 많은 이론들로 설명하고 있다. 하지만 분명한 것은 중심 각막의 얇아짐 (central corneal thinning) 과 중간주변부의 두꺼워짐 (midperiphery thickening) 이다. 많은 역기하 렌즈의 연구들에서 각막 구조의 변화는 각막의 중심 얇아짐과 중간 주변부의 깊어짐을 야기하는 주된 요소라고 하였다. 또 다른 연구에서는 각막 기질의 두꺼워짐이 주된 역할을 한다고 하였으나 이는 각막 지형도 상에서 초기에 일차적인 요인이 아니라 생각되었다. | 기전과 결과에 대해서는 많은 이론들로 설명하고 있다. 하지만 분명한 것은 중심 각막의 얇아짐 (central corneal thinning) 과 중간주변부의 두꺼워짐 (midperiphery thickening) 이다. 많은 역기하 렌즈의 연구들에서 각막 구조의 변화는 각막의 중심 얇아짐과 중간 주변부의 깊어짐을 야기하는 주된 요소라고 하였다. 또 다른 연구에서는 각막 기질의 두꺼워짐이 주된 역할을 한다고 하였으나 이는 각막 지형도 상에서 초기에 일차적인 요인이 아니라 생각되었다. | ||
소아에서 안축장 성장을 유의하게 억제함도 보고되었다. Hiraoka et al<ref>Hiraoka T et al. Long-term effect of overnight OK on AL elongation in childhood myopia : a 5-year FU study. IOVS. 2012 Jun 22;53(7):3913-9. [https://pubmed.ncbi.nlm.nih.gov/22577080/ 연결]</ref> 은 5년 경과 관찰 기간 동안의 렌즈군과 안경군의 안축장 변화는 각각 0.99±0.47 mm, 1.41±0.68 mm 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차이가 있다고 보고하였다 (p=0.024, unpaired t-test). 국내에서도 Kim et al<ref>Kim TH et al. Comparative effect of spectacles and OK lenses on axial elongation in children with mild‐to‐moderate myopia. JKOS 2018;59:1009-16.</ref> 이 1년 경과 관찰 기간 동안 안축장 변화 값을 렌즈군에서 0.24±0.29 mm, 안경군에서 0.42±0.20 mm 로 보고한 바 있다. | |||
== 디자인의 종류 == | == 디자인의 종류 == | ||
* 시력 형성 치료 (Vision Shaping treatment; VST) | * 시력 형성 치료 (Vision Shaping treatment; VS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