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새 문서: 플릭텐 각결막염 (phlyctenular keratoconjunctivitis) 은 <span style='color:blue;'>비감염성 각결막염</span>으로, 이미 민감화된 항원에 다시 노출되어 생...)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플릭텐 각결막염 (phlyctenular keratoconjunctivitis) 은 <span style='color:blue;'>비감염성 각결막염</span>으로, 이미 민감화된 항원에 다시 노출되어 생기는 면역반응에 의해 주변 각막과 윤부 주위 결막에 국소적으로 나타나는 염증 질환이다. 플릭텐(phlyctenule)이란 용어는 그리스어로 수포를 뜻하는 phlyctena에서 기원했는데, 괴사 과정을 거쳐 작은 결절 모양으로 보이는 단계를 가리키는 데서 유래했다. | '''플릭텐 각결막염 (phlyctenular keratoconjunctivitis)'''{{각막}} 은 <span style='color:blue;'>비감염성 각결막염</span>으로, 이미 민감화된 항원에 다시 노출되어 생기는 면역반응에 의해 주변 각막과 윤부 주위 결막에 국소적으로 나타나는 염증 질환이다. 플릭텐(phlyctenule)이란 용어는 그리스어로 수포를 뜻하는 phlyctena에서 기원했는데, 괴사 과정을 거쳐 작은 결절 모양으로 보이는 단계를 가리키는 데서 유래했다. | ||
== 원인 == | == 원인 == | ||
과거 결핵이 만연했던 시절에는 결핵균의 항원에 의한 면역 반응이 주된 원인이었으나 결핵의 유병률이 감소한 현재는 눈꺼풀 피부나 점막에 흔히 존재하는 <span style='color:blue;'>포도구균</span>이 주 원인이 되고 있다. 과거 결핵이 주 원인일 때도 결핵을 앓고 있는 모든 사람에게서 발생한 것은 아니고 주변에 결핵이 만연한 환경, 즉 많은 사람이 결핵을 앓고 있는 환경에서 지내며 결핵에 감염된 사람에서 잘 발생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 외에 Candida, Coccidioides, Chlamydia, 단순포진 바이러스, 몇몇 기생충 등도 원인으로 알려졌다. | 과거 결핵이 만연했던 시절에는 결핵균의 항원에 의한 면역 반응이 주된 원인이었으나 결핵의 유병률이 감소한 현재는 눈꺼풀 피부나 점막에 흔히 존재하는 <span style='color:blue;'>포도구균</span>이 주 원인이 되고 있다. 과거 결핵이 주 원인일 때도 결핵을 앓고 있는 모든 사람에게서 발생한 것은 아니고 주변에 결핵이 만연한 환경, 즉 많은 사람이 결핵을 앓고 있는 환경에서 지내며 결핵에 감염된 사람에서 잘 발생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 외에 Candida, Coccidioides, Chlamydia, 단순포진 바이러스, 몇몇 기생충 등도 원인으로 알려졌다. | ||
21번째 줄: | 21번째 줄: | ||
* tetracycline 경구 요법 : 치료에 반응하지 않거나 자주 재발하는 경우 효과를 보였다는 보고가 있다. | * tetracycline 경구 요법 : 치료에 반응하지 않거나 자주 재발하는 경우 효과를 보였다는 보고가 있다. | ||
* erythromycin 경구 요법 : 소아 연령이나 임신 또는 수유 중인 경우 사용할 수도 있다. | * erythromycin 경구 요법 : 소아 연령이나 임신 또는 수유 중인 경우 사용할 수도 있다. | ||
{{참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