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편집 요약 없음 |
잔글 (→원인)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플릭텐 각결막염 (phlyctenular keratoconjunctivitis)'''{{각막}} 은 <span style='color:blue;'>비감염성 각결막염</span>으로, 이미 민감화된 항원에 다시 노출되어 생기는 면역반응에 의해 주변 각막과 윤부 주위 결막에 국소적으로 나타나는 염증 질환이다. 플릭텐(phlyctenule)이란 용어는 그리스어로 수포를 뜻하는 phlyctena에서 기원했는데, 괴사 과정을 거쳐 작은 결절 모양으로 보이는 단계를 가리키는 데서 유래했다. | '''플릭텐 각결막염 (phlyctenular keratoconjunctivitis)'''{{각막}} 은 <span style='color:blue;'>비감염성 각결막염</span>으로, 이미 민감화된 항원에 다시 노출되어 생기는 면역반응에 의해 주변 각막과 윤부 주위 결막에 국소적으로 나타나는 염증 질환이다. 플릭텐(phlyctenule)이란 용어는 그리스어로 수포를 뜻하는 phlyctena에서 기원했는데, 괴사 과정을 거쳐 작은 결절 모양으로 보이는 단계를 가리키는 데서 유래했다. | ||
== 원인 == | == 원인 == | ||
과거 결핵이 만연했던 시절에는 | 과거 결핵이 만연했던 시절에는 결핵균 (''Mycobacterium tuberculosis'') 의 항원에 의한 면역 반응이 주된 원인이었으나 결핵의 유병률이 감소한 현재는 눈꺼풀 피부나 점막에 흔히 존재하는 <span style='color:blue;'>포도구균</span> (''Staphylococcus aureus'') 이 주 원인이 되고 있다. 과거 결핵이 주 원인일 때도 결핵을 앓고 있는 모든 사람에게서 발생한 것은 아니고 주변에 결핵이 만연한 환경, 즉 많은 사람이 결핵을 앓고 있는 환경에서 지내며 결핵에 감염된 사람에서 잘 발생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 외에 Candida, Coccidioides, Chlamydia, 단순포진 바이러스, 몇몇 기생충 등도 원인으로 알려졌다. | ||
== 병태 생리 == | == 병태 생리 == | ||
포도구균의 항원에 1차 민감화가 일어나고 이후 이 균의 외독소에 의해 각결막 상피세포 방어벽이 손상되면 항언이 이를 통과하여 체내에서 우리 몸의 면역 반응을 일으키는 것이 주 원인이다. 면역 세포가 매개하는 4형 면역반응으로, 조직생검에서 보면 단핵구에서 기원한 대식세포나 가지모양 랑게르한스세포 등이 주로 많이 존재하고, T세포가 적게 보인다. 박테리아균은 보이지 않는다. 이러한 병리 소견은 전형적인 지연 과민반응인 피부 tuberculin 반응에서 보이는 소견과 매우 유사하다. | 포도구균의 항원에 1차 민감화가 일어나고 이후 이 균의 외독소에 의해 각결막 상피세포 방어벽이 손상되면 항언이 이를 통과하여 체내에서 우리 몸의 면역 반응을 일으키는 것이 주 원인이다. 면역 세포가 매개하는 4형 면역반응으로, 조직생검에서 보면 단핵구에서 기원한 대식세포나 가지모양 랑게르한스세포 등이 주로 많이 존재하고, T세포가 적게 보인다. 박테리아균은 보이지 않는다. 이러한 병리 소견은 전형적인 지연 과민반응인 피부 tuberculin 반응에서 보이는 소견과 매우 유사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