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릭텐 각결막염: 두 판 사이의 차이

172 바이트 추가됨 ,  2021년 6월 7일 (월)
잔글
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 (→‎역학)
1번째 줄: 1번째 줄:
'''플릭텐 각결막염 (phlyctenular keratoconjunctivitis)'''{{각막}} 은 <span style='color:blue;'>비감염성 각결막염</span>으로, 이미 민감화된 항원에 다시 노출되어 생기는 면역반응에 의해 주변 각막과 윤부 주위 결막에 국소적으로 나타나는 염증 질환이다. 플릭텐(phlyctenule)이란 용어는 그리스어로 수포를 뜻하는 phlyctena에서 기원했는데, 괴사 과정을 거쳐 작은 결절 모양으로 보이는 단계를 가리키는 데서 유래했다.
'''플릭텐 각결막염 (phlyctenular keratoconjunctivitis)'''{{각막}} 은 <span style='color:blue;'>비감염성 각결막염</span>으로, 이미 민감화된 항원에 다시 노출되어 생기는 면역반응에 의해 주변 각막과 윤부 주위 결막에 국소적으로 나타나는 염증 질환이다. 플릭텐(phlyctenule)이란 용어는 그리스어로 수포를 뜻하는 phlyctena에서 기원했는데, 괴사 과정을 거쳐 작은 결절 모양으로 보이는 단계를 가리키는 데서 유래했다.
== 역학 ==
== 역학 ==
2011년 Jo 등<ref>Jo DH et al. Analysis of clinical characteristics in phlyctenular keratoconjunctivitis at a tertiary center. ''JKOS'' 2011;52:7-13.</ref>이 보고한 바에 따르면 한국인의 플릭텐각결막염의 평균 발생 연령은 18.0세이고, 주로 여성에서 발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른 연구<ref>강동현 등, 플릭텐 각결막염 환자의 눈물간섭계를 이용한 임상양상 분석, ''JKOS'' 2020;61(1):1-8. [https://www.jkos.org/upload/pdf/JKOS061-01-01.pdf 연결]</ref>에서 평균 연령은 21.3 ± 10.0세, 모두 여성으로 이전의 연구와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여성에서 호발하는 이유는 안구표면의 성 호르몬 수용체의 표현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15 플릭텐각결막염은 각막 윤부 주위에서 주로 발생하며, 본 연구에서 각막염의 발생 위치는 아래 사분면이 가장 많았다.
2011년 Jo 등<ref>Jo DH et al. Analysis of clinical characteristics in phlyctenular keratoconjunctivitis at a tertiary center. ''JKOS'' 2011;52:7-13.</ref>이 보고한 바에 따르면 한국인의 플릭텐각결막염의 평균 발생 연령은 18.0세이고, 주로 여성에서 발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른 연구<ref>강동현 등, 플릭텐 각결막염 환자의 눈물간섭계를 이용한 임상양상 분석, ''JKOS'' 2020;61(1):1-8. [https://www.jkos.org/upload/pdf/JKOS061-01-01.pdf 연결]</ref>에서 평균 연령은 21.3 ± 10.0세, 모두 여성으로 이전의 연구와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여성에서 호발하는 이유는 안구표면의 성 호르몬 수용체의 표현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ref>Suzuki T et al. Expression of sex steroid hormone receptors in human cornea. Curr Eye Res. 2001 Jan;22(1):28-33. [https://pubmed.ncbi.nlm.nih.gov/11402376/ 연결]</ref>. 플릭텐각결막염은 각막 윤부 주위에서 주로 발생하며, 본 연구에서 각막염의 발생 위치는 아래 사분면이 가장 많았다.
 
== 원인 ==
== 원인 ==
과거 결핵이 만연했던 시절에는 결핵균 (''Mycobacterium tuberculosis'') 의 항원에 의한 면역 반응이 주된 원인이었으나 결핵의 유병률이 감소한 현재는 눈꺼풀 피부나 점막에 흔히 존재하는 <span style='color:blue;'>포도구균</span> (''Staphylococcus aureus'')<ref>Smolin G et al. Staphylococcal blepharitis. Arch Ophthalmol. 1977 May;95(5):812-6. [https://pubmed.ncbi.nlm.nih.gov/324453/ 연결]</ref> 이 주 원인이 되고 있다. 과거 결핵이 주 원인일 때도 결핵을 앓고 있는 모든 사람에게서 발생한 것은 아니고 주변에 결핵이 만연한 환경, 즉 많은 사람이 결핵을 앓고 있는 환경에서 지내며 결핵에 감염된 사람에서 잘 발생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 외에 Candida, Coccidioides, Chlamydia, 단순포진 바이러스, 몇몇 기생충 등도 원인으로 알려졌다.
과거 결핵이 만연했던 시절에는 결핵균 (''Mycobacterium tuberculosis'') 의 항원에 의한 면역 반응이 주된 원인이었으나 결핵의 유병률이 감소한 현재는 눈꺼풀 피부나 점막에 흔히 존재하는 <span style='color:blue;'>포도구균</span> (''Staphylococcus aureus'')<ref>Smolin G et al. Staphylococcal blepharitis. Arch Ophthalmol. 1977 May;95(5):812-6. [https://pubmed.ncbi.nlm.nih.gov/324453/ 연결]</ref> 이 주 원인이 되고 있다. 과거 결핵이 주 원인일 때도 결핵을 앓고 있는 모든 사람에게서 발생한 것은 아니고 주변에 결핵이 만연한 환경, 즉 많은 사람이 결핵을 앓고 있는 환경에서 지내며 결핵에 감염된 사람에서 잘 발생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 외에 Candida, Coccidioides, Chlamydia, 단순포진 바이러스, 몇몇 기생충 등도 원인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