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656
번
잔글편집 요약 없음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근시성 견인 황반증 (myopic tractional maculopathy; MTM)'''{{망막}} | '''근시성 견인 황반증 (myopic tractional maculopathy; MTM)'''{{망막}} | ||
== 역사 == | == 역사 == | ||
근시중심와층간분리(myopic foveoschisis)는 1999년 Takano and Kishi<ref>Takano M et al. Foveal retinoschisis and RD in severely myopic eyes with post. staphyloma. ''AJO''. 1999 Oct;128(4):472-6. [https://pubmed.ncbi.nlm.nih.gov/10577588/ 연결]</ref>에 의해 시력이 저하된 변성 근시 환자에서 OCT를 통해 황반부 망막이 떨어져 있는 것을 발견하면서 처음 정의되었다. 심한 근시가 있는 후포도종 환자들 중 9~34% 까지 동반되었음이 보고되었다<ref>Baba T et al. Prevalence and characteristics of foveal RD without MH in high myopia. ''AJO''. 2003 Mar;135(3):338-42. [https://pubmed.ncbi.nlm.nih.gov/12614751/ 연결]</ref>. Panozzo and Mercanti<ref>Panozzo G et al. OCT findings in MTM. ''Arch Ophthalmol''. 2004 Oct;122(10):1455-60. [https://pubmed.ncbi.nlm.nih.gov/15477456/ 연결]</ref>는 2004년 근시 환자에서 견인력에 의해 발생된 모든 병리학적 특징을 통합하여 근시 견인 황반병증 (myopic traction maculopathy) 이라는 정의를 제시했다. | |||
{{참고}} | {{참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