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검사 및 진단) |
잔글 (→조직학적 소견) |
||
5번째 줄: | 5번째 줄: | ||
시력 저하의 정도는 다양하지만 임상적으로 관찰되는 망막의 백색화 정도와 연관되어 나타나지는 않는다. 후극부를 침범한 경우 급성 시력 손상이 발생하나 주변 망막을 침범한 경우는 시력 손상이 없을 수도 있다. | 시력 저하의 정도는 다양하지만 임상적으로 관찰되는 망막의 백색화 정도와 연관되어 나타나지는 않는다. 후극부를 침범한 경우 급성 시력 손상이 발생하나 주변 망막을 침범한 경우는 시력 손상이 없을 수도 있다. | ||
== 조직학적 소견 == | == 조직학적 소견 == | ||
광수용체 외절 및 [[망막 색소 상피]]의 손상과 관련이 있음이 알려졌다. | 광수용체 외절 및 [[망막 색소 상피]]의 손상과 관련이 있음이 알려졌다<ref>Sipperley JO et al. Traumatic retinopathy in primates. The explanation of commotio retinae. ''Arch Ophthalmol''. 1978 Dec;96(12):2267-73. [https://pubmed.ncbi.nlm.nih.gov/718521/ 연결]</ref><ref>Mansour AM et al. Histopathology of commotio retinae. ''Retina''. 1992;12(1):24-8. [https://pubmed.ncbi.nlm.nih.gov/1565867/ 연결]</ref>. | ||
== 검사 및 진단 == | == 검사 및 진단 == | ||
* OCT : 망막 진탕 부위의 두께의 변화는 없으나 광수용체 외절의 반사율이 증가하고 외절과 망막 색소상피층 사이의 경계가 모호해짐을 확인할 수 있다<ref>Hart JC, et al. Retinal opacification after blunt non-perforating concussional injuries to the globe. A clinical and retinal FA study. ''Trans Ophthalmol Soc U K''. 1975 Apr;95(1):94-100. [https://pubmed.ncbi.nlm.nih.gov/1064218/ 연결]</ref>. | * OCT : 망막 진탕 부위의 두께의 변화는 없으나 광수용체 외절의 반사율이 증가하고 외절과 망막 색소상피층 사이의 경계가 모호해짐을 확인할 수 있다<ref>Hart JC, et al. Retinal opacification after blunt non-perforating concussional injuries to the globe. A clinical and retinal FA study. ''Trans Ophthalmol Soc U K''. 1975 Apr;95(1):94-100. [https://pubmed.ncbi.nlm.nih.gov/1064218/ 연결]</ref>.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