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병인) |
잔글 (→병인) |
||
3번째 줄: | 3번째 줄: | ||
안구 둔상 후 흔하게 볼 수 있는 것으로 모든 외상 후 안저 변화의 9.4%를 차지한다. | 안구 둔상 후 흔하게 볼 수 있는 것으로 모든 외상 후 안저 변화의 9.4%를 차지한다. | ||
== 병인 == | == 병인 == | ||
광수용체 외절 및 [[망막 색소 상피]]의 손상과 관련이 있음이 알려졌다<ref>Sipperley JO et al. Traumatic retinopathy in primates. The explanation of commotio retinae. ''Arch Ophthalmol''. 1978 Dec;96(12):2267-73. [https://pubmed.ncbi.nlm.nih.gov/718521/ 연결]</ref><ref>Mansour AM et al. Histopathology of commotio retinae. ''Retina''. 1992;12(1):24-8. [https://pubmed.ncbi.nlm.nih.gov/1565867/ 연결]</ref>. 여러 연구에서 OCT를 이용하여 이러한 광수용체 외절의 손상이 가역적이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외절의 반사율이 줄어들면서 안저의 회백색 병변도 옅어지는 것이 확인되었다<ref>Oh J et al. Commotio retinae with SD OCT. ''Retina''. 2011 Nov;31(10):2044-9. [https://pubmed.ncbi.nlm.nih.gov/21659940/ 연결]</ref>. | 안구 타박으로 유발되는 대측 충격 (counter coup) 에 의해 발생하며, 광수용체 외절 및 [[망막 색소 상피]]의 손상과 관련이 있음이 알려졌다<ref>Sipperley JO et al. Traumatic retinopathy in primates. The explanation of commotio retinae. ''Arch Ophthalmol''. 1978 Dec;96(12):2267-73. [https://pubmed.ncbi.nlm.nih.gov/718521/ 연결]</ref><ref>Mansour AM et al. Histopathology of commotio retinae. ''Retina''. 1992;12(1):24-8. [https://pubmed.ncbi.nlm.nih.gov/1565867/ 연결]</ref>. 여러 연구에서 OCT를 이용하여 이러한 광수용체 외절의 손상이 가역적이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외절의 반사율이 줄어들면서 안저의 회백색 병변도 옅어지는 것이 확인되었다<ref>Oh J et al. Commotio retinae with SD OCT. ''Retina''. 2011 Nov;31(10):2044-9. [https://pubmed.ncbi.nlm.nih.gov/21659940/ 연결]</ref>. | ||
== 증상 == | == 증상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