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9
번
잔글편집 요약 없음 |
잔글 (→치료) |
||
7번째 줄: | 7번째 줄: | ||
주로 결막낭에 위치하며 이물감, 결막 충혈, 통증, 가려움증, 눈물 흘림 등의 증상을 일으키고 가벼운 결막염, 눈꺼풀염에서 심하면 각막염, 각막 궤양 등 다양한 임상 양상을 나타낼 수 있다<ref>Otranto D et al. Biology of Thelazia callipaeda (Spirurida, Thelaziidae) eyeworms in naturally infected definitive hosts. ''Parasitology''. 2004 Nov;129(Pt 5):627-33. [https://pubmed.ncbi.nlm.nih.gov/15552407/ 연결]</ref><ref>Otranto D et al. Thelazia eyeworm : an original endo- and ecto-parasitic nematode. ''Trends Parasitol''. 2005 Jan;21(1):1-4. [https://pubmed.ncbi.nlm.nih.gov/15639731/ 연결]</ref>. 1917년 Trimble<ref>Trimble CG. Circumocular filariasis. ''China Med J'' 1917;31:266.</ref>이 아래눈꺼풀 마비, 눈꺼풀 겉말림을 동반하는 경우를 보고한 바가 있으며, 국내에서도 눈꺼풀 겉말림을 동반한 증례를 보고한 바 있다<ref>이여진 외, 눈꺼풀 겉말림을 동반한 동양안충의 인체 감염, ''JKOS''. 2020;61(3):294-297 [https://www.jkos.org/upload/pdf/JKOS061-03-10.pdf 연결]</ref>. | 주로 결막낭에 위치하며 이물감, 결막 충혈, 통증, 가려움증, 눈물 흘림 등의 증상을 일으키고 가벼운 결막염, 눈꺼풀염에서 심하면 각막염, 각막 궤양 등 다양한 임상 양상을 나타낼 수 있다<ref>Otranto D et al. Biology of Thelazia callipaeda (Spirurida, Thelaziidae) eyeworms in naturally infected definitive hosts. ''Parasitology''. 2004 Nov;129(Pt 5):627-33. [https://pubmed.ncbi.nlm.nih.gov/15552407/ 연결]</ref><ref>Otranto D et al. Thelazia eyeworm : an original endo- and ecto-parasitic nematode. ''Trends Parasitol''. 2005 Jan;21(1):1-4. [https://pubmed.ncbi.nlm.nih.gov/15639731/ 연결]</ref>. 1917년 Trimble<ref>Trimble CG. Circumocular filariasis. ''China Med J'' 1917;31:266.</ref>이 아래눈꺼풀 마비, 눈꺼풀 겉말림을 동반하는 경우를 보고한 바가 있으며, 국내에서도 눈꺼풀 겉말림을 동반한 증례를 보고한 바 있다<ref>이여진 외, 눈꺼풀 겉말림을 동반한 동양안충의 인체 감염, ''JKOS''. 2020;61(3):294-297 [https://www.jkos.org/upload/pdf/JKOS061-03-10.pdf 연결]</ref>. | ||
== 치료 == | == 치료 == | ||
결막낭에 국한된 경우 점안 마취 하에 충체를 제거하는 것이며, 충란이 남아있을 수 있으므로 식염수로 충분히 세척해 주어야 한다. 만약 제거가 힘들 경우에는 diethylcarbamazine 경구 투여가 효과가 있다는 보고도 있다. | 결막낭에 국한된 경우 점안 마취 하에 충체를 제거하는 것이며, 충란이 남아있을 수 있으므로 식염수로 충분히 세척해 주어야 한다. 만약 제거가 힘들 경우에는 diethylcarbamazine 경구 투여가 효과가 있다는 보고도 있다<ref>Kim HT et al. A case of Oguchi's disease. ''JKOS'' 1990;31:105-9.</ref>. | ||
제거 후 증상이 호전되었을 때 후유증은 남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성충의 수명은 12개월로 충분한 추적 관찰이 필요하다<ref> Choi DK et al. A case of human Thelaziasis concomitantly | |||
found with a reservoir host. ''JKOS'' 1978;19:125-9</ref>. | found with a reservoir host. ''JKOS'' 1978;19:125-9</ref>. | ||
{{참고}} | {{참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