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혈 림프관 확장증: 두 판 사이의 차이

589 바이트 추가됨 ,  2021년 6월 9일 (수)
잔글
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8번째 줄: 8번째 줄:
== 감별 진단 ==
== 감별 진단 ==
* [[모세혈관 확장 조화운동 불능]] (ataxia telangiectasia; Louis-Bar 증후군), 유전 출혈 모세혈관 확장증 (Rendu-Osler-Weber 병) : 이 질환들은 안구 결막 및 눈꺼풀 틈새에 동맥 확장이 나타나지만 림프관은 정상이다.
* [[모세혈관 확장 조화운동 불능]] (ataxia telangiectasia; Louis-Bar 증후군), 유전 출혈 모세혈관 확장증 (Rendu-Osler-Weber 병) : 이 질환들은 안구 결막 및 눈꺼풀 틈새에 동맥 확장이 나타나지만 림프관은 정상이다.
== 진단 ==
국소 절제를 통한 병리 조직학적 소견으로 확진한다.
== 치료 ==
== 치료 ==
출혈은 수 주 이내 대부분 자연적으로 호전되고, 확장된 림프관은 투명한 림프액으로 채워지게 되며, 재발을 잘 한다.
출혈은 수 주 이내 대부분 자연적으로 호전되고, 확장된 림프관은 투명한 림프액으로 채워지게 되며, 재발을 잘 한다.
* 보존적 치료 : 국소 스테로이드 점안액 + 인공 눈물
* 국소 절제
* 국소 절제
* 투과열요법 (diathermy)
* 광범위 절제
* 냉동 치료
* 고주파 전기 수술기를 이용한 열 소작 (diathermy) : Jeong 등<ref> Jeong HK et al. The effects of surgery for conjunctival lymphangiectasia using a high-frequency radio wave
electrosurgical unit. ''JKOS'' 2018;59:314-8.</ref>에 의하면, 국소적으로 발생한 결막 림프관 확장증 환자 27명을 대상으로 고주파전기소작술을 시행하여 92.6%의 성공률을 보였다
* anti-VEGF 주사
{{참고}}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