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 각막 짓무름: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359 바이트 추가됨 ,  2021년 6월 11일 (금)
잔글
잔글 (→‎병인)
잔글 (→‎병인)
3번째 줄: 3번째 줄:
정상 각막 상피세포의 부착은 상피 바닥세포, 바닥막, 보우만층, 그리고 각막 기질로 이루어진 부착 복합체(attachment complex)라고 알려진 구조에 의존한다. 이러한 부착 복합체는 전자 현미경과 면역조직화학 염색을 통해 반결합체(hemidesmosome), 바닥판(basal lamina), 치밀판(lamina densa), 투명판(lamina lucida), 고정원섬유(anchoring fibril), 라미닌(laminin), 섬유결합소(fibronectin), 그리고 아교질 4형과 7형 등으로 이루어졌다고 밝혀져 있다.
정상 각막 상피세포의 부착은 상피 바닥세포, 바닥막, 보우만층, 그리고 각막 기질로 이루어진 부착 복합체(attachment complex)라고 알려진 구조에 의존한다. 이러한 부착 복합체는 전자 현미경과 면역조직화학 염색을 통해 반결합체(hemidesmosome), 바닥판(basal lamina), 치밀판(lamina densa), 투명판(lamina lucida), 고정원섬유(anchoring fibril), 라미닌(laminin), 섬유결합소(fibronectin), 그리고 아교질 4형과 7형 등으로 이루어졌다고 밝혀져 있다.
== 병인 ==
== 병인 ==
각막 상피와 바닥막 사이, 바닥막과 실질 사이의 바닥막 복합체 (basement membrane complex) 의 약화로 반복적으로 각막의 층이 분리된다.<ref>Kirkwood BJ. RCE : characteristics and management options. ''Insight''. 2007 Oct-Dec;32(4):14-7; [https://pubmed.ncbi.nlm.nih.gov/18306941/ 연결]</ref><ref>Ramamurthi S et al. Pathogenesis, clinical features and management of RCE. ''Eye (Lond)''. 2006 Jun;20(6):635-44. [https://pubmed.ncbi.nlm.nih.gov/16021185/ 연결]</ref>. 각막 상피 바닥막의 결손, 유전적 이상으로 비정상적인 바닥막의 축적, 세포 기질 간의 반결합체 (hemidesmosome) 의 약화<ref>Tripathi RC et al. Ultrastructural study of non-traumatic RCE. ''BJO''. 1972 Feb;56(2):73-85. [https://pubmed.ncbi.nlm.nih.gov/4110772/ 연결]</ref>, 고정 미세 섬유 (anchoring fibril) 의 결핍, [[MMP]]에 의한 각막 상피 결합체의 분해4, 제 7형 콜라겐의 결손5 등이 그 병인으로 알려져 있다.
각막 상피와 바닥막 사이, 바닥막과 실질 사이의 바닥막 복합체 (basement membrane complex) 의 약화로 반복적으로 각막의 층이 분리된다.<ref>Kirkwood BJ. RCE : characteristics and management options. ''Insight''. 2007 Oct-Dec;32(4):14-7; [https://pubmed.ncbi.nlm.nih.gov/18306941/ 연결]</ref><ref>Ramamurthi S et al. Pathogenesis, clinical features and management of RCE. ''Eye (Lond)''. 2006 Jun;20(6):635-44. [https://pubmed.ncbi.nlm.nih.gov/16021185/ 연결]</ref>. 각막 상피 바닥막의 결손, 유전적 이상으로 비정상적인 바닥막의 축적, 세포 기질 간의 반결합체 (hemidesmosome) 의 약화<ref>Tripathi RC et al. Ultrastructural study of non-traumatic RCE. ''BJO''. 1972 Feb;56(2):73-85. [https://pubmed.ncbi.nlm.nih.gov/4110772/ 연결]</ref>, 고정 미세 섬유 (anchoring fibril) 의 결핍, [[MMP]]에 의한 각막 상피 결합체의 분해<ref>Sakimoto T et al. MMP in corneal diseases : degradation and processing. ''Cornea''. 2012 Nov;31 Suppl 1:S50-6. [https://pubmed.ncbi.nlm.nih.gov/23038036/ 연결]</ref>, 제 7형 콜라겐의 결손<ref>Chen YT et al. The cleavage plane of corneal epithelial adhesion complex in traumatic RCE. ''Mol Vis''. 2006 Mar 23;12:196-204. [https://pubmed.ncbi.nlm.nih.gov/16604052/ 연결]</ref> 등이 그 병인으로 알려져 있다.


== 역학 ==
== 역학 ==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