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 각막 짓무름: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113 바이트 추가됨 ,  2021년 6월 11일 (금)
잔글
잔글 (→‎원인)
40번째 줄: 40번째 줄:
반복되는 비수술 치료로도 환자의 증상이 좋아지지 않고 일상 생활이 어려운 경우 수술 치료를 생각할 수 있다. 진무름의 빈도와 심한 정도, 각막 이상증을 포함한 각막 질환 여부, 진무름의 원인과 위치, 그리고 환자의 요구도에 따라 치료 방법을 결정해야 한다.
반복되는 비수술 치료로도 환자의 증상이 좋아지지 않고 일상 생활이 어려운 경우 수술 치료를 생각할 수 있다. 진무름의 빈도와 심한 정도, 각막 이상증을 포함한 각막 질환 여부, 진무름의 원인과 위치, 그리고 환자의 요구도에 따라 치료 방법을 결정해야 한다.
* 죽은 조직 제거술 : 세극등 현미경에서 점안 마취 하에 면봉이나 끝이 뭉툭한 기구로 쉽게 시행할 수 있다. 부착이 약하고 늘어진 상피를 제거하는 방법이지만, 보우만층이나 더 깊은 기질을 변형시키지 않아 부착력 자체를 증가시키지 않기 때문에 효과는 적다.
* 죽은 조직 제거술 : 세극등 현미경에서 점안 마취 하에 면봉이나 끝이 뭉툭한 기구로 쉽게 시행할 수 있다. 부착이 약하고 늘어진 상피를 제거하는 방법이지만, 보우만층이나 더 깊은 기질을 변형시키지 않아 부착력 자체를 증가시키지 않기 때문에 효과는 적다.
* [[표층 각막 절제]] (superficial keratectomy)
* [[표층 각막 절제]] (superficial keratectomy) : 알코올 또는 다이아몬드 드릴 사용
* [[전부 기질 천자]] (anterior stromal puncture)
* [[전부 기질 천자]] (anterior stromal puncture, ASP) : 일회용 주사 바늘이나 Nd:YAG 레이저를 이용
* 엑시머 치료 레이저 각막 절제술 : ArFl 엑시머 레이저 역시 사용되어 왔다. 엑시머 레이저를 사용하여 보우만층과 기질의 앞부분을 변형시켜 각막 상피가 유착될 수 있는 거친 표면을 형성하는 시술이다. 하지만 치료비가 매우 비싸고 시술자의 경험이 필요하며 장기적인 임상 결과가 없다. 또한 시술자, 환자의 특성, 레이저 기술에 따라 수술 방법과 성공률에서 많은 차이가 나타난다. 보통, 각막 상피를 제거한 후 보우만층에 엑시머 레이저를 가하게 된다. 수술 후 원시 쪽으로 굴절력이 변하기 때문에, 근시가 있으면서 심한 바닥막 이상증으로 인해 진무름이 발생한 환자에서는 치료 각막 절제와 [[굴절교정 레이저 각막절제술]](PRK)을 같이 시행한다. 수술 후 안대 콘택트렌즈를 착용하고 비스테로이드 항염증제와 항생제 안약을 투여한다.
* 엑시머 치료 레이저 각막 절제술 : ArFl 엑시머 레이저 역시 사용되어 왔다. 엑시머 레이저를 사용하여 보우만층과 기질의 앞부분을 변형시켜 각막 상피가 유착될 수 있는 거친 표면을 형성하는 시술이다. 하지만 치료비가 매우 비싸고 시술자의 경험이 필요하며 장기적인 임상 결과가 없다. 또한 시술자, 환자의 특성, 레이저 기술에 따라 수술 방법과 성공률에서 많은 차이가 나타난다. 보통, 각막 상피를 제거한 후 보우만층에 엑시머 레이저를 가하게 된다. 수술 후 원시 쪽으로 굴절력이 변하기 때문에, 근시가 있으면서 심한 바닥막 이상증으로 인해 진무름이 발생한 환자에서는 치료 각막 절제와 [[굴절교정 레이저 각막절제술]](PRK)을 같이 시행한다. 수술 후 안대 콘택트렌즈를 착용하고 비스테로이드 항염증제와 항생제 안약을 투여한다.
{{참고}}
{{참고}}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