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버 유전 시신경병증: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276 바이트 추가됨 ,  2021년 6월 14일 (월)
잔글
잔글편집 요약 없음
15번째 줄: 15번째 줄:
== 검사 소견 ==
== 검사 소견 ==
* 안저 소견 : 유두 주위 혈관 확장성 미세혈관병증 (circumpapillary telangiectatic microangiopathy), 유두의 충혈, 출혈, 유두주위 신경섬유층의 부종, 황반 부종, 삼출물 등이 있으며 망막 혈관이 팽창하고 구불구불해진다.
* 안저 소견 : 유두 주위 혈관 확장성 미세혈관병증 (circumpapillary telangiectatic microangiopathy), 유두의 충혈, 출혈, 유두주위 신경섬유층의 부종, 황반 부종, 삼출물 등이 있으며 망막 혈관이 팽창하고 구불구불해진다.
* FA : 모세혈관의 이상을 반영하는 시신경 유두의 형광 누출이 나타나지 않는다. 따라서 시신경염이나 허혈성 시신경병증 등 다른 시신경 질환에서의 유두 부종과 달리 가성 부종 (pseudoedema) 으로 일컬어진다.
* VF : 96%가 중심 암점이나 주시점 맹점 암점 (cecocentral scotoma) 을 보인다. 때로 양이측 반맹도 있고, 중심 암점이 너무 커지면 위, 아래 또는 코나 귀쪽에 섬 같은 시야만 남을 수도 있다. 증상이 없는 반대눈에서 경미한 시야 변화가 발견되기도 한다.
* VF : 96%가 중심 암점이나 주시점 맹점 암점 (cecocentral scotoma) 을 보인다. 때로 양이측 반맹도 있고, 중심 암점이 너무 커지면 위, 아래 또는 코나 귀쪽에 섬 같은 시야만 남을 수도 있다. 증상이 없는 반대눈에서 경미한 시야 변화가 발견되기도 한다.
* MRI : 시신경의 조영 증강이 관찰되거나 시신경 교차에서 병변이 발견되는 경우도 있다.
* MRI : 시신경의 조영 증강이 관찰되거나 시신경 교차에서 병변이 발견되는 경우도 있다.
== 감별 진단 ==
== 감별 진단 ==
시야 검사에서 중심 암점 또는 주시점 맹점 암점이 보인다면 반드시 감별 진단해야 한다.
시야 검사에서 중심 암점 또는 주시점 맹점 암점이 보인다면 반드시 감별 진단해야 한다.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