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가지 혈관염: 두 판 사이의 차이

391 바이트 추가됨 ,  2021년 6월 16일 (수)
잔글
잔글편집 요약 없음
8번째 줄: 8번째 줄:
* [[급성 특발 언가지 혈관염]] (acute idiopathic frosted branch angiitis) : 이토 등이 보고한 증례와 같이 건강하고 젊은 환자에서 아무런 원인이 없이 발병한다.
* [[급성 특발 언가지 혈관염]] (acute idiopathic frosted branch angiitis) : 이토 등이 보고한 증례와 같이 건강하고 젊은 환자에서 아무런 원인이 없이 발병한다.
== 검사 소견 ==
== 검사 소견 ==
* SD-OCT : 공통적으로 혈관 주위 부종, 혈관벽 및 혈관 주위 고반사 음영의 삼출물이 관찰되며 이것은 앞서 언급된 면역복합체 관련 반응을 시사하는 것으로 생각되며<ref>Giani A et al. SD OCT findings in a case of frosted retinal branch angiitis. ''Eye (Lond)''. 2010 May;24(5):943-4. [https://pubmed.ncbi.nlm.nih.gov/19730449/ 연결]<ref>, 12,13 산재된 또 다른 작은 크기의 고반사 음영은 이러한 병변에 수반되는 이차적인 뮐러세포의 반응으로 설명될 수 있다. 12,14 이러한 SD-OCT상의 병변들은 기존의 보고들 모두에서 경과가 호전되며 소실되는 양상을 보였다.
* SD-OCT : 공통적으로 혈관 주위 부종, 혈관벽 및 혈관 주위 고반사 음영의 삼출물이 관찰되며 이것은 앞서 언급된 면역복합체 관련 반응을 시사하는 것으로 생각되며<ref>Giani A et al. SD OCT findings in a case of frosted retinal branch angiitis. ''Eye (Lond)''. 2010 May;24(5):943-4. [https://pubmed.ncbi.nlm.nih.gov/19730449/ 연결]</ref><ref>He L et al. Perivascular exudates in frosted branch angiitis. ''Ophthalmic Surg Lasers Imaging Retina''. 2014 Sep-Oct;45(5):443-6. [https://pubmed.ncbi.nlm.nih.gov/25215872/ 연결]</ref>, 산재된 또 다른 작은 크기의 고반사 음영은 이러한 병변에 수반되는 이차적인 뮐러세포의 반응으로 설명될 수 있다<ref>Reichenbach A et al. Müller cells as players in retinal degeneration and edema. ''Graefes Arch Clin Exp Ophthalmol''. 2007 May;245(5):627-36. [https://pubmed.ncbi.nlm.nih.gov/17219109/ 연결]</ref>. 12,14 이러한 SD-OCT상의 병변들은 기존의 보고들 모두에서 경과가 호전되며 소실되는 양상을 보였다.
{{참고}}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