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막앞막: 두 판 사이의 차이

358 바이트 추가됨 ,  2021년 6월 18일 (금)
잔글
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12번째 줄: 12번째 줄:
망막앞막을 동반하는 [[유리체-황반 견인 증후군]], 백내장 수술 후 낭포 황반 부종, 망막 과오종, 망막앞막과 동반된 [[가성 황반 원공]]과 전층 황반 원공의 감별이다. 상세한 세극등 안저 검사와 함께 OCT, FA가 도움이 된다. 관리와 예후가 망막앞막과 다르므로 감별이 중요하다.
망막앞막을 동반하는 [[유리체-황반 견인 증후군]], 백내장 수술 후 낭포 황반 부종, 망막 과오종, 망막앞막과 동반된 [[가성 황반 원공]]과 전층 황반 원공의 감별이다. 상세한 세극등 안저 검사와 함께 OCT, FA가 도움이 된다. 관리와 예후가 망막앞막과 다르므로 감별이 중요하다.
== 수술적 치료 ==
== 수술적 치료 ==
대다수는 처음 발생하여 곧 수축이 생기나, 성장한 후에는 시간이 지나도 해부학적으로 변하지 않으며, 증상이 경미하고 시력도 오랫동안 안정적으로 유지되므로 수술이 필요 없으며, 단지 10~25%에서 시력이 감소된다. 그러나 막이 점차 두꺼워지고 망막이 뒤틀려서 망막 주름, 황반 부종이나 황반 박리, 황반 전위, 혼탁된 막이 중심을 가리거나, 견인으로 인한 축삭형질 이동의 정지, [[부분층 황반 원공]]의 발생, [[망막 색소상피]]의 변화 등으로 인해 수 개월~수 년에 걸쳐서 서서히 시력 감소가 진행되기도 한다. 여기에 안내염증이 있거나 안내 수술을 하면 변형이나 동반된 황반 부종의 정도가 변하게 된다.<br />일반적으로 <span style='color:blue;'>20/50 정도로 시력이 감소될 때까지는 수술을 연기</span>하고, 유의하거나 진행성 시력 소실, 시력 저하가 적지만 <span style='color:blue;'>복시나 변시증이 심하거나 직업상 시력 개선이 필요한 경우</span> 수술을 고려한다. 근래에는 술기와 수술 기계의 발달로 수술의 안정성과 성적이 높아지면서 OCT 소견을 기반으로 하여 조기 수술을 주장하는 보고들도 많다. 발생 기간이 상대적으로 짧은 경우가 후의 시력 회복 가능성이 높다.
대다수는 처음 발생하여 곧 수축이 생기나, 성장한 후에는 시간이 지나도 해부학적으로 변하지 않으며, 증상이 경미하고 시력도 오랫동안 안정적으로 유지되므로 수술이 필요 없으며, 단지 10~25%에서 시력이 감소된다. 그러나 막이 점차 두꺼워지고 망막이 뒤틀려서 망막 주름, 황반 부종이나 황반 박리, 황반 전위, 혼탁된 막이 중심을 가리거나, 견인으로 인한 축삭형질 이동의 정지, [[부분층 황반 원공]]의 발생, [[망막 색소상피]]의 변화 등으로 인해 수 개월~수 년에 걸쳐서 서서히 시력 감소가 진행되기도 한다. 여기에 안내염증이 있거나 안내 수술을 하면 변형이나 동반된 황반 부종의 정도가 변하게 된다.<br />일반적으로 <span style='color:blue;'>20/50 정도로 시력이 감소될 때까지는 수술을 연기</span>하고, 유의하거나 진행성 시력 소실, 시력 저하가 적지만 <span style='color:blue;'>복시나 변시증이 심하거나 직업상 시력 개선이 필요한 경우</span> 수술을 고려한다.
 
수술 후 좋은 시력 예후 인자로 수술 전 시력이 좋은 경우, 유병 기간이 짧은 경우, 시세포층의 손상이 적은 경우 등이 제시되고 있으며<ref>Scheerlinck LM et al. Predictive factors for postoperative VA in idiopathic ERM : a systematic review. ''Acta Ophthalmol''. 2015 May;93(3):203-12. [https://pubmed.ncbi.nlm.nih.gov/25160648/ 연결]</ref>, 11-13 그로 인해 망막전막의 조기 수술적 치료가 주장되기도 한다. 14,15 특히 빛간섭단층촬영검사의 도입으로 전 시세포 내외절 경계부 결손이 주요한 수술 후 나쁜 예후로 알려져 있다.
{{참고}}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