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막 교정 렌즈/문제: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31 바이트 추가됨 ,  2021년 6월 24일 (목)
잔글
편집 요약 없음
(새 문서: == 눈과 렌즈의 유착 == 아침에 자고 나서 렌즈를 제거하려고 할 때 렌즈가 눈과 유착되는 경우가 있는데 건성안이 있거나, 각막 난시가 작...)
 
잔글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콘택트렌즈}}
== 눈과 렌즈의 유착 ==
== 눈과 렌즈의 유착 ==
아침에 자고 나서 렌즈를 제거하려고 할 때 렌즈가 눈과 유착되는 경우가 있는데 건성안이 있거나, 각막 난시가 작거나, 안구의 경직도가 낮을 때 렌즈와 각막 사이의 눈물층이 얇아지면 눈물의 점도가 높아지므로 이런 현상이 생길 수 있다. 이는 렌즈가 가파르게 처방되어 생기는 것도 아니고, 렌즈의 디자인과도 무관하다. 렌즈를 착용시킬 때 인공눈물을 충분히 점안하고, 새벽에도 한 번 더 점안해주는 것이 유착을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 아침에 유착이 되어 있으면 렌즈를 제거하기 전에 인공눈물을 충분히 점안한 후 각막을 약간 눌러서 렌즈와 각막 사이의 공간을 만든 후 렌즈가 움직일 때 조심스럽게 제거한다.
아침에 자고 나서 렌즈를 제거하려고 할 때 렌즈가 눈과 유착되는 경우가 있는데 건성안이 있거나, 각막 난시가 작거나, 안구의 경직도가 낮을 때 렌즈와 각막 사이의 눈물층이 얇아지면 눈물의 점도가 높아지므로 이런 현상이 생길 수 있다. 이는 렌즈가 가파르게 처방되어 생기는 것도 아니고, 렌즈의 디자인과도 무관하다. 렌즈를 착용시킬 때 인공눈물을 충분히 점안하고, 새벽에도 한 번 더 점안해주는 것이 유착을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 아침에 유착이 되어 있으면 렌즈를 제거하기 전에 인공눈물을 충분히 점안한 후 각막을 약간 눌러서 렌즈와 각막 사이의 공간을 만든 후 렌즈가 움직일 때 조심스럽게 제거한다.
37번째 줄: 38번째 줄:
* 보존액이 눈에 맞지 않아서 각막에 미세한 과립이 생겨서 시력이 떨어지는 수가 있다. 이 때는 이러한 것이 없어진 후에 다시 렌즈를 끼우면 된다.
* 보존액이 눈에 맞지 않아서 각막에 미세한 과립이 생겨서 시력이 떨어지는 수가 있다. 이 때는 이러한 것이 없어진 후에 다시 렌즈를 끼우면 된다.
* 성장기의 환자는 근시가 진행되어 시력이 잘 안 나오는 수가 많다. 렌즈를 빼고 충분히 쉬어 각막이 시술 이전으로 돌아간 뒤 굴절 검사하여 시술 전과 후를 비교해보면 되지만, 시간이 많이 걸리므로 렌즈를 낀 상태에서 덧댐 굴절 검사를 하여 처음 상태와 비교해보면 된다. 그러므로 렌즈를 처음할 때 반드시 덧댐 굴절 검사를 기록해 두어야 한다.
* 성장기의 환자는 근시가 진행되어 시력이 잘 안 나오는 수가 많다. 렌즈를 빼고 충분히 쉬어 각막이 시술 이전으로 돌아간 뒤 굴절 검사하여 시술 전과 후를 비교해보면 되지만, 시간이 많이 걸리므로 렌즈를 낀 상태에서 덧댐 굴절 검사를 하여 처음 상태와 비교해보면 된다. 그러므로 렌즈를 처음할 때 반드시 덧댐 굴절 검사를 기록해 두어야 한다.
{{참고}}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