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새 문서: == 고삐실 걸기 == 수술 부위를 노출시키기 위해 안구를 적절히 회전시켜 고정하는 방법으로 상직근의 힘줄이나 각막 윤부 경계 바로 앞의...)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녹내장}} | |||
== 고삐실 걸기 == | == 고삐실 걸기 == | ||
수술 부위를 노출시키기 위해 안구를 적절히 회전시켜 고정하는 방법으로 상직근의 힘줄이나 각막 윤부 경계 바로 앞의 각막에 8-0 vicryl 또는 8-0 silk 봉합사를 걸어서 당겨 둔다. 상직근의 힘줄에 고삐실을 걸면 때때로 [[결막하 출혈]]이 발생하므로 충분히 지혈을 하여야 한다. 각막에 고삐실을 걸 때는 각막 천공을 조심하여야 하며 눈의 위치 변동이 있으므로 12시 방향을 잘 기억해 두어야 한다. | 수술 부위를 노출시키기 위해 안구를 적절히 회전시켜 고정하는 방법으로 상직근의 힘줄이나 각막 윤부 경계 바로 앞의 각막에 8-0 vicryl 또는 8-0 silk 봉합사를 걸어서 당겨 둔다. 상직근의 힘줄에 고삐실을 걸면 때때로 [[결막하 출혈]]이 발생하므로 충분히 지혈을 하여야 한다. 각막에 고삐실을 걸 때는 각막 천공을 조심하여야 하며 눈의 위치 변동이 있으므로 12시 방향을 잘 기억해 두어야 한다. | ||
17번째 줄: | 18번째 줄: | ||
점탄 물질의 사용은 전방 깊이를 유지시키고, 맥락막 박리를 예방하며 수술 후 전방 출혈의 발생을 감소시키고, 여과포의 반흔을 지연시킨다는 보고가 있으나, 평형염액을 사용하는 것과 특별한 차이가 없다. | 점탄 물질의 사용은 전방 깊이를 유지시키고, 맥락막 박리를 예방하며 수술 후 전방 출혈의 발생을 감소시키고, 여과포의 반흔을 지연시킨다는 보고가 있으나, 평형염액을 사용하는 것과 특별한 차이가 없다. | ||
{{참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