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물막 파괴 시간: 두 판 사이의 차이

431 바이트 추가됨 ,  2021년 7월 2일 (금)
잔글
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2번째 줄: 2번째 줄:
== 병태 생리 ==
== 병태 생리 ==
건성안에서는 눈물막이 불안정해지므로 눈깜빡임 사이에 눈물막이 비정상적으로 빨리 깨지게 된다.
건성안에서는 눈물막이 불안정해지므로 눈깜빡임 사이에 눈물막이 비정상적으로 빨리 깨지게 된다.
== 단점 ==
검사자가 주관적으로 측정하기 때문에 환자마다 눈물막 파괴 경향성이 다르며 검사에 사용하는 형광색소가 눈물층의 안정성에 영향을 주게 되어 검사의 정확도에 영향을 미친다<ref>Patel S et al. Effects of fluorescein on TBUT and on tear thinning time. Am J Optom Physiol Opt. 1985 Mar;62(3):188-90. [https://pubmed.ncbi.nlm.nih.gov/3985110/ 연결]</ref>.
== 과정 또는 용법 ==
== 과정 또는 용법 ==
2% fluorescein 5㎕를 아래 결막낭에 점안하고 눈을 감았다 뜨게 한 후 염색된 눈물막에 첫 번째 결손이 생길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한다. 형광 물질이 묻은 검사지에 보존제를 첨가하지 않은 생리식염수를 적셔 사용할 수도 있다. 사용하는 형광 물질의 양에 따라 눈물막 파괴 시간이 달라지므로 정량으로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고, 검사할 때마다 값이 차이를 나타내므로 세 번 정도 반복해서 평균을 구하는 것이 추천된다. 염화 벤잘코늄 같은 보존제는 눈물막 파괴를 더 빠르게할 수 있으므로 유의한다.
2% fluorescein 5㎕를 아래 결막낭에 점안하고 눈을 감았다 뜨게 한 후 염색된 눈물막에 첫 번째 결손이 생길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한다. 형광 물질이 묻은 검사지에 보존제를 첨가하지 않은 생리식염수를 적셔 사용할 수도 있다. 사용하는 형광 물질의 양에 따라 눈물막 파괴 시간이 달라지므로 정량으로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고, 검사할 때마다 값이 차이를 나타내므로 세 번 정도 반복해서 평균을 구하는 것이 추천된다. 염화 벤잘코늄 같은 보존제는 눈물막 파괴를 더 빠르게할 수 있으므로 유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