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막 교정 렌즈/처방: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359 바이트 추가됨 ,  2021년 7월 5일 (월)
잔글
1번째 줄: 1번째 줄:
{{콘택트렌즈}}
{{콘택트렌즈}}
== 처방 방법 ==
== 처방 방법 ==
=== flat K (FK) 결정 ===
=== flat K (FK) ===
두 경선의 K값 차이 즉, 각막 난시가 1.0D 정도이면 더 편평한 쪽 (K값이 작은 쪽) 을 선택한다.
두 경선의 K값 차이 즉, 각막 난시가 1.0D 정도이면 더 편평한 쪽 (K값이 작은 쪽) 을 선택한다.
  K = 43.00 / 44.00 → FK = 43.00
  K = 43.00 / 44.00 → FK = 43.00
7번째 줄: 7번째 줄:
  K = 43.00 / 44.50 (Cyl 1.50) → FK = 43.25 (또는 43.00)
  K = 43.00 / 44.50 (Cyl 1.50) → FK = 43.25 (또는 43.00)
  K = 43.00 / 43.50 (Cyl 0.50) → FK = 42.75 (또는 43.00)
  K = 43.00 / 43.50 (Cyl 0.50) → FK = 42.75 (또는 43.00)
=== target power (TP) 결정 ===
=== target power (TP) ===
원래 각막의 flat K 와 위에서 결정한 FK가 동일한 경우에는 AR의 구면 도수를 TP로 결정하고 0.5D를 더해준다. 난시 정도에 따라 FK가 달라지기 때문에 TP를 결정할 때에는 AR상의 난시 도수는 계산되지 않는다.
원래 각막의 flat K 와 위에서 결정한 FK가 동일한 경우에는 AR의 구면 도수를 TP로 결정하고 0.5D를 더해준다. 난시 정도에 따라 FK가 달라지기 때문에 TP를 결정할 때에는 AR상의 난시 도수는 계산되지 않는다.
  K = 43.00 / 44.00, AR = -3.00 -0.50 ×180 → FK = 43.00, TP = -3.50 D
  K = 43.00 / 44.00, AR = -3.00 -0.50 ×180 → FK = 43.00, TP = -3.50 D
14번째 줄: 14번째 줄:
  K = 43.00 / 43.50, AR = -3.00 Dsph → FK = 42.75, TP = -3.25 D
  K = 43.00 / 43.50, AR = -3.00 Dsph → FK = 42.75, TP = -3.25 D
그러나 근시 진행이 빠른 성장기 학생이나 수면이 부족한 학생의 경우 시력이 충분히 나오지 않으면 기존의 TP보다 0.25~0.50 D 를 올려도 좋다.
그러나 근시 진행이 빠른 성장기 학생이나 수면이 부족한 학생의 경우 시력이 충분히 나오지 않으면 기존의 TP보다 0.25~0.50 D 를 올려도 좋다.
=== 비구면도 (ecc) ===
각막 지형도나 각막계의 temporal K 로 비구면도를 결정한다.
=== 직경 (OVD) ===
K가 너무 가파르거나 편평하지 않을 때에는 시험 세트에 있는 직경 (10.6mm) 로 한다.
그러나 아주 가파를 때 (≥ 46.0 D) 는 10.0mm 로, 그리고 아주 편평할 때 (≤ 40.5 D) 는 11.0 mm 로 할 수 있다.


== 형광 염색 소견 ==
== 형광 염색 소견 ==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