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발 점액 샘암종: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766 바이트 추가됨 ,  2021년 7월 14일 (수)
잔글
편집 요약 없음
(새 문서: 피부에 발생하는 '''원발 점액 샘암종 (primary mucinous adenocarcinoma, PMA)'''{{성형안과}} 은 땀샘에서 기원하는 매우 드물게 발생하는 종양이다<re...)
 
잔글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피부에 발생하는 '''원발 점액 샘암종 (primary mucinous adenocarcinoma, PMA)'''{{성형안과}} 은 땀샘에서 기원하는 매우 드물게 발생하는 종양이다<ref>Chauhan A et al. Primary mucinous carcinoma of eyelid : a rare clinical entity. ''Indian J Ophthalmol''. 2009 Mar-Apr;57(2):150-2. [https://pubmed.ncbi.nlm.nih.gov/19237793/ 연결]</ref>.
피부에 발생하는 '''원발 점액 샘암종 (primary mucinous adenocarcinoma, PMA)'''{{성형안과}} 은 땀샘에서 기원하는 매우 드물게 발생하는 저등급 악성 종양으로<ref>Chauhan A et al. Primary mucinous carcinoma of eyelid : a rare clinical entity. ''Indian J Ophthalmol''. 2009 Mar-Apr;57(2):150-2. [https://pubmed.ncbi.nlm.nih.gov/19237793/ 연결]</ref>, 에크린샘에서 기원하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ref>Carson HJ et al. Mucinous carcinoma of the eyelid. An IHC study. ''Am J Dermatopathol''. 1995 Oct;17(5):494-8. [https://pubmed.ncbi.nlm.nih.gov/8599456/ 연결]</ref>.
== 역사 ==
== 역사 ==
1952년 Lennox<ref>Lennox B et al. Mucin-secreting tumours of the skin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so-called mixed-salivary tumour of the skin and its relation to hidradenoma. ''J Pathol Bacteriol''. 1952 Oct;64(4):865-80. [https://pubmed.ncbi.nlm.nih.gov/13000598/ 연결]</ref> 등에 의해 처음 기술되었으며 이후 1971년 Mendoza 등<ref>Mendoza S et al. Mucinous (adenocystic) carcinoma of the skin. ''Arch Dermatol''. 1971 Jan;103(1):68-78. [https://pubmed.ncbi.nlm.nih.gov/4321803/ 연결]</ref>에 의해 처음 명명되었다. 현재 국내에서는 상안검 1예, 눈꺼풀 가쪽 피부 1예가 보고되었다<ref>Seo HC et al. A case of PMA of the UL. ''JKOS'' 2007;48:599-603.</ref><ref>Hong SM et al. A case of PMA on skin of the lateral canthus. ''JKOS'' 2009;50:1582-5</ref>.
1952년 Lennox<ref>Lennox B et al. Mucin-secreting tumours of the skin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so-called mixed-salivary tumour of the skin and its relation to hidradenoma. ''J Pathol Bacteriol''. 1952 Oct;64(4):865-80. [https://pubmed.ncbi.nlm.nih.gov/13000598/ 연결]</ref> 등에 의해 처음 기술되었으며 이후 1971년 Mendoza 등<ref>Mendoza S et al. Mucinous (adenocystic) carcinoma of the skin. ''Arch Dermatol''. 1971 Jan;103(1):68-78. [https://pubmed.ncbi.nlm.nih.gov/4321803/ 연결]</ref>에 의해 처음 명명되었다. 현재 국내에서는 상안검 1예, 눈꺼풀 가쪽 피부 1예가 보고되었다<ref>Seo HC et al. A case of PMA of the UL. ''JKOS'' 2007;48:599-603.</ref><ref>Hong SM et al. A case of PMA on skin of the lateral canthus. ''JKOS'' 2009;50:1582-5</ref>.
== 역학 ==
원발병소는 주로 두피, 경부이며 다음으로 눈꺼풀과 눈썹에 많이 발생하는데, 50대에서 70대 사이의 노년층에서, 여성보다 남성에서 더 흔하게 발생하고 백인 (77.2%) 에서 아시아인 (12.7%) 이나 아프리카계 미국인 (10.1%) 보다 유병률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종양은 대개 무증상이고 단일성 결절 형태를 보이며 얼굴에서는 0.7~2.5 cm 까지, 몸통에서는 8 cm 까지 커지기도 한다.
== 임상 경과 ==
== 임상 경과 ==
저등급 악성종양으로 비록 천천히 자라고 전이가 될 가능성은 낮지만 재발률은 상당히 높은 편이다.
저등급 악성종양으로 비록 천천히 자라고 전이가 될 가능성은 낮지만 재발률은 상당히 높은 편이다.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