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편집 요약 없음 |
잔글 (→임상 소견) |
||
6번째 줄: | 6번째 줄: | ||
== 원인 == | == 원인 == | ||
여러가지 감염균이나 독성 물질 및 그에 대한 과민증이 원인으로 제기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확실한 원인은 알려지지 않았다. 관련이 제시된 감염균에는 mycobacteria, 바이러스, norcardia 유사 병원체, mycoplasma 등이 있다. | 여러가지 감염균이나 독성 물질 및 그에 대한 과민증이 원인으로 제기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확실한 원인은 알려지지 않았다. 관련이 제시된 감염균에는 mycobacteria, 바이러스, norcardia 유사 병원체, mycoplasma 등이 있다. | ||
== | == 전신 소견 == | ||
특징적인 양상으로는 양측성의 폐문 림프절병증, 폐 침윤, 피부와 눈의 병변이 있다. 급성 또는 만성으로 올 수 있으며 육아종은 우리 몸의 거의 대부분의 장기를 침범하여 염증과 기능 장애를 일으키는데, 폐, 눈 피부 등이 가장 많이 침범되는 장기이다. | 특징적인 양상으로는 양측성의 폐문 림프절병증, 폐 침윤, 피부와 눈의 병변이 있다. 급성 또는 만성으로 올 수 있으며 육아종은 우리 몸의 거의 대부분의 장기를 침범하여 염증과 기능 장애를 일으키는데, 폐, 눈 피부 등이 가장 많이 침범되는 장기이다. | ||
무증상으로 있다가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도 흔하며 폐에 나타나는 소견은 폐문 림프절병증, 폐 침윤, 섬유증 등이 흔하며, 증상으로는 기침, 호흡곤란, 천명 등이 있다. 급성 또는 만성의 관절염이 생기기도 하며, 그 외에 육아종이 자주 생기는 장기는 간, 비장, 신장, 근육, 뼈, 신경계 이다. | 무증상으로 있다가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도 흔하며 폐에 나타나는 소견은 폐문 림프절병증, 폐 침윤, 섬유증 등이 흔하며, 증상으로는 기침, 호흡곤란, 천명 등이 있다. 급성 또는 만성의 관절염이 생기기도 하며, 그 외에 육아종이 자주 생기는 장기는 간, 비장, 신장, 근육, 뼈, 신경계 이다. | ||
== 안과 소견 == | |||
시신경과 시각 경로를 침범한 경우 시력 감소나 시야 장애를 야기할 수 있으며 안면 신경을 침범하면 노출 각막병증, 눈물 흘림, 눈꺼풀 겉말림 등이 발생한다<ref>Pasadhika S et al. Ocular Sarcoidosis. ''Clin Chest Med''. 2015 Dec;36(4):669-83. [https://pubmed.ncbi.nlm.nih.gov/26593141/ 연결]</ref>. | |||
== 조직 병리 == | == 조직 병리 == | ||
병변은 유상피세포, 거대 세포 등으로 이루어진 비건락 육아종이다. | 병변은 유상피세포, 거대 세포 등으로 이루어진 비건락 육아종이다. | ||
{{참고}} | {{참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