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절 맥락막 혈관병증: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1 바이트 추가됨 ,  2020년 3월 14일 (토)
잔글
(새 문서: 결절 맥락막 혈관병증 (polypoidal choroidal vasculopathy; PCV) 은 과거에는 50~60대 흑인 여자에서, 시신경유두 이측 주변의 맥락막 이상혈관으로부...)
 
3번째 줄: 3번째 줄:
발생 연령은 [[나이 관련 황반 변성]]과 비슷하지만, 좀 더 젊은 나이에 발생하기도 하며, 남자에서 조금 더 자주 발생한다.<br /><span style='color:blue;'>흑인과 동양인 등 유색 인종에서 호발</span>하는데, 동양인에서 노년층에서의 출혈, 삼출 병변의 약 30~50%를 차지하며, 서양인에서는 약 10%를 차지한다. 동양인에서는 황반형이 거의 대부분이며, 서양인에서도 황반형이 많기는 하지만 시신경유두 주위형이 상대적으로 많은 비율을 차지한다. 양안성 경향은 20~30%까지 보고되고 있으며, 고혈압과 연관이 있다는 보고도 있다.
발생 연령은 [[나이 관련 황반 변성]]과 비슷하지만, 좀 더 젊은 나이에 발생하기도 하며, 남자에서 조금 더 자주 발생한다.<br /><span style='color:blue;'>흑인과 동양인 등 유색 인종에서 호발</span>하는데, 동양인에서 노년층에서의 출혈, 삼출 병변의 약 30~50%를 차지하며, 서양인에서는 약 10%를 차지한다. 동양인에서는 황반형이 거의 대부분이며, 서양인에서도 황반형이 많기는 하지만 시신경유두 주위형이 상대적으로 많은 비율을 차지한다. 양안성 경향은 20~30%까지 보고되고 있으며, 고혈압과 연관이 있다는 보고도 있다.
== 병태 생리 ==
== 병태 생리 ==
[[맥락막 혈관 신생]]의 한 종류인지 아닌지 논란이 있다. 여러 병리조직학적 연구에서는 망막 아래와 부르크막 안의 섬유혈관 증식을 보고하였으며, 이를 근거로 결절 맥락막 혈과 신생으로 분류하고 삼출형 나이관련 황반변성의 한 형태로 보기도 한다. 이에 부합되게, 최근 SD-OCT에서 이상 혈관이 적어도 일부분은 부르크막 안에 위치한느 것으로 파악되며, 전방이나 수술 중 얻은 조직에서 VEGF가 증가한 점도 이런 추정을 뒷받침한다.<br />그러나 대부분의 병리조직학적 연구가 전형적인 급성기 병변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아니어서 한계가 있으며, 나이관련 황반변성에서 보이는 <span style='color:blue;'>브루크막의 선행 변화, 임상적으로는 연성 드루젠 등이 동반되지 않는 점</span>에서 차이를 보인다. 다른 병리학적 보고에서는 맥락막 세동맥의 동맥 경화와 동정맥 교차 부위에서 세정맥 확장을 관찰하였고, 이를 토대로 이 질환은 혈관 신생과는 별개이며, 맥락막 세정맥의 압박, 확장, 사행 그리고 혈류 정체에 따르는 변화로 보기도 한다. ICGA에서 맥락막내 과형광이 10% 정도 관찰된 점, SD-OCT에서 맥락막 두께가 증가한 것도 이런 추정을 뒷받침한다.
[[맥락막 신생 혈관]]의 한 종류인지 아닌지 논란이 있다. 여러 병리조직학적 연구에서는 망막 아래와 부르크막 안의 섬유혈관 증식을 보고하였으며, 이를 근거로 결절 맥락막 혈과 신생으로 분류하고 삼출형 나이관련 황반변성의 한 형태로 보기도 한다. 이에 부합되게, 최근 SD-OCT에서 이상 혈관이 적어도 일부분은 부르크막 안에 위치한느 것으로 파악되며, 전방이나 수술 중 얻은 조직에서 VEGF가 증가한 점도 이런 추정을 뒷받침한다.<br />그러나 대부분의 병리조직학적 연구가 전형적인 급성기 병변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아니어서 한계가 있으며, 나이관련 황반변성에서 보이는 <span style='color:blue;'>브루크막의 선행 변화, 임상적으로는 연성 드루젠 등이 동반되지 않는 점</span>에서 차이를 보인다. 다른 병리학적 보고에서는 맥락막 세동맥의 동맥 경화와 동정맥 교차 부위에서 세정맥 확장을 관찰하였고, 이를 토대로 이 질환은 혈관 신생과는 별개이며, 맥락막 세정맥의 압박, 확장, 사행 그리고 혈류 정체에 따르는 변화로 보기도 한다. ICGA에서 맥락막내 과형광이 10% 정도 관찰된 점, SD-OCT에서 맥락막 두께가 증가한 것도 이런 추정을 뒷받침한다.
 
== 임상 소견 ==
== 임상 소견 ==
안저 소견으로는 삼출형 나이관련 황반변성에서 나타나는 모든 증후를 보일 수 있다. <span style='color:blue;'>결절 부위가 주황색으로 융기</span>되어 관찰된다면 진단적 가치가 높다.
안저 소견으로는 삼출형 나이관련 황반변성에서 나타나는 모든 증후를 보일 수 있다. <span style='color:blue;'>결절 부위가 주황색으로 융기</span>되어 관찰된다면 진단적 가치가 높다.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