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적응증) |
잔글 (→부작용) |
||
6번째 줄: | 6번째 줄: | ||
== 부작용 == | == 부작용 == | ||
0.03% 국소 연고의 가장 흔한 부작용은 안구 표면의 작열감으로 연고의 사용 초기에 불편감을 발생시켜 환자들이 안약을 사용하는 데에 순응도를 떨어뜨릴 수 있으며, 불편감으로 인해 국소 치료를 중단한 경우도 보고되었다<ref>Yoon CH et al. Topical Tacrolimus 0.03% for Maintenance Therapy in Steroid-dependent, Recurrent PKC. Cornea. 2018 Feb;37(2):168-171. [https://pubmed.ncbi.nlm.nih.gov/29309358/ 연결]</ref>. | 0.03% 국소 연고의 가장 흔한 부작용은 안구 표면의 작열감으로 연고의 사용 초기에 불편감을 발생시켜 환자들이 안약을 사용하는 데에 순응도를 떨어뜨릴 수 있으며, 불편감으로 인해 국소 치료를 중단한 경우도 보고되었다<ref>Yoon CH et al. Topical Tacrolimus 0.03% for Maintenance Therapy in Steroid-dependent, Recurrent PKC. Cornea. 2018 Feb;37(2):168-171. [https://pubmed.ncbi.nlm.nih.gov/29309358/ 연결]</ref>. | ||
또한 장기적으로 0.1% 연고를 사용하였을 때, 각막 감염의 위험도를 높일 수 있다는 보고가 있었다. 그러나, [[플릭텐 각결막염]] 환자들을 대상으로 0.03% 연고를 사용하였을 때 각막 감염이나 각막 이상이 발생되었다는 보고는 없었다. | |||
이외에 타크로리무스 제제를 사용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전신적 부작용으로 알려진 것은, T 림프구 세포와 B 림프구 세포의 기능을 감소시켜 림프종과 같은 질환을 유발할 수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알려져 있으나<ref>Müller GG et al. Long-term use of topical tacrolimus ointment : a safe and effective option for the treatment of VKC. ''Arq Bras Oftalmo''l. 2019 Mar-Apr;82(2):119-123. [https://pubmed.ncbi.nlm.nih.gov/30698232/ 연결]</ref>, 아직까지 국소 연고를 사용한 경우에 전신 부작용이 보고된 경우는 없었고, 소아를 대상으로 장기간 동안 연고를 사용하였을 때에도 전신 혈중 농도는 부작용이 발생한다고 보고된 용량보다 낮았다<ref>McCollum AD et al. The safety and efficacy of tacrolimus ointment in pediatric patients with atopic dermatitis. Pediatr Dermatol. 2010 Sep-Oct;27(5):425-36. [https://pubmed.ncbi.nlm.nih.gov/20678096/ 연결]</ref>. | |||
== 종류 == | == 종류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