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중심 장액 맥락망막병증 (central serous chorioretinopathy; CSC)'''{{망막}} 은 맥락망막의 질환 중 하나로, 후극부에 국한된 경계가 분명한 장액성 감각신경망막 박리 또는 망막 색소상피 박리가 나타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 '''중심 장액 맥락망막병증 (central serous chorioretinopathy; CSC)'''{{망막}} 은 맥락망막의 질환 중 하나로, 후극부에 국한된 경계가 분명한 장액성 감각신경망막 박리 또는 망막 색소상피 박리가 나타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 ||
내과적 망막질환 중에서 나이관련 황반변성, 당뇨 망막병증, 망막분지정맥폐쇄에 이어 네 번째로 후극부에서 자주 발생하는 질환으로, 주로 건강한 남자에게서 경도에서 중등도의 시력 저하를 일으킨다. 대부분 저절로 호전되지만 만성적으로 지속되거나 자주 재발하는 경우는 치료가 필요하다. | |||
== 역사 == | |||
1866년 von Graefe가 중심성 재발 망막염으로 처음 기술한 이래, 1965년 Maumenee는 황반 박리가 망막 색소상피에서의 누출 때문에 생긴다는 것을 발견하였고, 1967녀 Gass가 중심성 장액 맥락망막병증이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하였다. | |||
== 역학 == | == 역학 == | ||
이전 보고에 따르면 10만명 중 5.8명의 발생률을 보이고, <span style='color:blue;'>남자</span>가 여자보다 6배 정도 많고<ref>Kitzmann AS et al. The incidence of CSC in Olmsted County, Minnesota, 1980-2002. Ophthalmology. 2008 Jan;115(1):169-73. [https://pubmed.ncbi.nlm.nih.gov/18166410/ 연결]</ref>, 대개 <span style='color:blue;'>30~50대까지의 청, 장년층</span>에서 많이 발생한다. 처음 진단 시 양안 동시 발병률은 4% 정도이지만 양안을 침범하는 경우는 40%까지도 높게 보고되며, 주로 만성 환자에서 양안성이 많은 경향이 있다.<br />인종적으로도 차이가 있어 흑인에서는 매우 드물고 <span style='color:blue;'>백인, 동양인 등</span>에 빈번하게 발생하며, 미국 거주 흑인들에서는 드물게 나타나지만 발생 시 심한 양상을 보인다고 알려져 있다. 이는 스트레스에 대한 과도한 교감신경성 반응을 보이는 성향 때문으로 보인다. 가족력이나 계절적으로 봄에 많이 발생한다는 보고도 있으나 확실하지는 않다. | 이전 보고에 따르면 10만명 중 5.8명의 발생률을 보이고, <span style='color:blue;'>남자</span>가 여자보다 6배 정도 많고<ref>Kitzmann AS et al. The incidence of CSC in Olmsted County, Minnesota, 1980-2002. Ophthalmology. 2008 Jan;115(1):169-73. [https://pubmed.ncbi.nlm.nih.gov/18166410/ 연결]</ref>, 대개 <span style='color:blue;'>30~50대까지의 청, 장년층</span>에서 많이 발생한다. 처음 진단 시 양안 동시 발병률은 4% 정도이지만 양안을 침범하는 경우는 40%까지도 높게 보고되며, 주로 만성 환자에서 양안성이 많은 경향이 있다.<br />인종적으로도 차이가 있어 흑인에서는 매우 드물고 <span style='color:blue;'>백인, 동양인 등</span>에 빈번하게 발생하며, 미국 거주 흑인들에서는 드물게 나타나지만 발생 시 심한 양상을 보인다고 알려져 있다. 이는 스트레스에 대한 과도한 교감신경성 반응을 보이는 성향 때문으로 보인다. 가족력이나 계절적으로 봄에 많이 발생한다는 보고도 있으나 확실하지는 않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