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생혈관 녹내장: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1 바이트 추가됨 ,  2021년 7월 21일 (수)
잔글
잔글편집 요약 없음
6번째 줄: 6번째 줄:
* 망막 박리 : 열공 망막 박리에서 열공을 통하여 망막 색소상피의 혈관생성인자가 방출되어 유발된다.
* 망막 박리 : 열공 망막 박리에서 열공을 통하여 망막 색소상피의 혈관생성인자가 방출되어 유발된다.
* 백내장과 유리체 수술 : 수정체 후낭이나 유리체막의 손상과 광범위한 망막의 허혈 및 수술로 인하여 염증이 생기면, 이는 혈관 신생인자들을 전방으로 확산시켜 홍채의 신생혈관을 만든다.
* 백내장과 유리체 수술 : 수정체 후낭이나 유리체막의 손상과 광범위한 망막의 허혈 및 수술로 인하여 염증이 생기면, 이는 혈관 신생인자들을 전방으로 확산시켜 홍채의 신생혈관을 만든다.
=== [[망막 중심 정맥 폐쇄]] (CRAO) ===
=== [[망막 중심 정맥 폐쇄]] (CRVO) ===
허혈성에서는 58-86%의 높은 빈도로 신생혈관녹내장이 나타나지만, 비허혈성에서는 4%  이하의 낮은 빈도를 보인다. 망막의 허혈 정도는 FA 시 망막의 모세혈관 비관류의 정도로 알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모세혈관 비관류가 많을 수록 신생혈관 녹내장의 발생율은 높아진다. 망막 중심 정맥 폐쇄에서 신생혈관 녹내장의 예측 인자는 시력으로 [[CVOS]] (Central Vein Ocllusion Study)에서 발생 후 1달 내 시력이 20/200 이하일 경우 전안부 신생혈과 발생율이 30% 이상이며, 시력이 20/40일 경우에는 그 발생율이 5% 이하라고 알려져 있는데, 구심 동공 장애 및 망막 전위도 검사가 신생혈관 녹내장 발생 예측에 도움이 된다.<br />발생 시기는 폐쇄 후 2주에서 2년 사이에 언제나 발생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span style='color:blue;'>약 3개월 후에 잘 발생한다고 해서 '100일 녹내장'</span> 이란 이름으로 불려지며, 대개 80% 이상이 폐쇄 후 6개월 이내에 발생한다.
허혈성에서는 58-86%의 높은 빈도로 신생혈관녹내장이 나타나지만, 비허혈성에서는 4%  이하의 낮은 빈도를 보인다. 망막의 허혈 정도는 FA 시 망막의 모세혈관 비관류의 정도로 알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모세혈관 비관류가 많을 수록 신생혈관 녹내장의 발생율은 높아진다. 망막 중심 정맥 폐쇄에서 신생혈관 녹내장의 예측 인자는 시력으로 [[CVOS]] (Central Vein Ocllusion Study)에서 발생 후 1달 내 시력이 20/200 이하일 경우 전안부 신생혈과 발생율이 30% 이상이며, 시력이 20/40일 경우에는 그 발생율이 5% 이하라고 알려져 있는데, 구심 동공 장애 및 망막 전위도 검사가 신생혈관 녹내장 발생 예측에 도움이 된다.<br />발생 시기는 폐쇄 후 2주에서 2년 사이에 언제나 발생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span style='color:blue;'>약 3개월 후에 잘 발생한다고 해서 '100일 녹내장'</span> 이란 이름으로 불려지며, 대개 80% 이상이 폐쇄 후 6개월 이내에 발생한다.
=== [[당뇨 망막병증]] ===
=== [[당뇨 망막병증]] ===
흔한 원인 중 하나로, 주로 증식 당뇨 망막증을 가진 눈에서 많이 나타나지만, 비증식 망막증에서도 모세혈관 비관류 부위가 많으면 발생할 수 있다. 신생혈관 녹내장의 빈도는 당뇨병의 유병 기간과 관계되며, 고혈압 같은 혈관 질환의 동반에 따라 영향을 받는다. 당뇨병 환자에서 홍채 혈관신생은 1~17%에서 발생되나 증식 당뇨 망막증의 경우에는 33~65%로 높은 발생율을 보이며, 유리체 절제술 또는 수정체 적출술을 시행할 때 발생을 증가시킨다. <span style='color:blue;'>홍채 혈관신생의 빈도는 신생혈관 녹내장의 빈도보다 훨씬 높은데</span>, 홍채 혈관신생이 신생혈관 녹내장으로 진행되는 시기는 다양하며, 보통 치료하지 않은 경우에 1개월에서 3년 정도로 보고 있다. 경우에 따라 오랜 기간 진행되지 않기도 하며, 자연히 소멸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당뇨 환자에서 신생혈관 녹내장이 한쪽 눈에 발생할때 반대쪽 눈에 적절한 망막 광응고를 하면 반대쪽 눈에 녹내장의 발병을 억제할 수 있다.
흔한 원인 중 하나로, 주로 증식 당뇨 망막증을 가진 눈에서 많이 나타나지만, 비증식 망막증에서도 모세혈관 비관류 부위가 많으면 발생할 수 있다. 신생혈관 녹내장의 빈도는 당뇨병의 유병 기간과 관계되며, 고혈압 같은 혈관 질환의 동반에 따라 영향을 받는다. 당뇨병 환자에서 홍채 혈관신생은 1~17%에서 발생되나 증식 당뇨 망막증의 경우에는 33~65%로 높은 발생율을 보이며, 유리체 절제술 또는 수정체 적출술을 시행할 때 발생을 증가시킨다. <span style='color:blue;'>홍채 혈관신생의 빈도는 신생혈관 녹내장의 빈도보다 훨씬 높은데</span>, 홍채 혈관신생이 신생혈관 녹내장으로 진행되는 시기는 다양하며, 보통 치료하지 않은 경우에 1개월에서 3년 정도로 보고 있다. 경우에 따라 오랜 기간 진행되지 않기도 하며, 자연히 소멸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당뇨 환자에서 신생혈관 녹내장이 한쪽 눈에 발생할때 반대쪽 눈에 적절한 망막 광응고를 하면 반대쪽 눈에 녹내장의 발병을 억제할 수 있다.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