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새 문서: 중간 포도막염 (intermediate uveitis) "일차적으로 유리체를 침범하는 염증을 말한다. 용어는 1987년에 International Uveitis Study Group에서 질환이 위...) |
잔글 (→역학)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중간 포도막염 (intermediate uveitis) "일차적으로 유리체를 침범하는 염증을 말한다. 용어는 1987년에 International Uveitis Study Group에서 질환이 위치한 부위에 따라 명명하였으며, 2005년 The Standardization of Uveitis Nomenclature (SUN) Working Group에서 용어에 대한 명확한 정의를 내렸는데, '유리체가 주된 염증 장소인 포도막염'을 말하며, 염증 세포는 주로 평면부, 주변부 망막 혈관, 주변부 맥락막에서 기원한다고 하였다. | 중간 포도막염 (intermediate uveitis) "일차적으로 유리체를 침범하는 염증을 말한다. 용어는 1987년에 International Uveitis Study Group에서 질환이 위치한 부위에 따라 명명하였으며, 2005년 The Standardization of Uveitis Nomenclature (SUN) Working Group에서 용어에 대한 명확한 정의를 내렸는데, '유리체가 주된 염증 장소인 포도막염'을 말하며, 염증 세포는 주로 평면부, 주변부 망막 혈관, 주변부 맥락막에서 기원한다고 하였다. | ||
== 역학 == | == 역학 == | ||
2005년도에 중간 포도막염에 대한 명확한 정의 를 내린 이후 이 진단기준에 의거한 유병률과 발생률에 대한보고는 드물다. 보고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으나 인구 10만명 당 | 2005년도에 중간 포도막염에 대한 명확한 정의 를 내린 이후 이 진단기준에 의거한 유병률과 발생률에 대한보고는 드물다. 보고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으나 인구 10만명 당 1.5~4명에서 발생하며, 포도막염으로 인해 상급 병원으로 의뢰되는 환자 중 4~15.4%로 보고되어 있다.<br />어느 연령층에나 발생할 수 이씅나, 대개 5~30세 정도의 젊은 나이에 호발한다. 남녀에서의 유병률은 차이가 없다는 것이 일반적이나 일부 보고에 의하면 사르코이드증의 경우에는 여자에서 더 많이 발생한다고 하였다.<br />양안을 모두 침범하는 경우는 서양에서 70~90%의 높은 비율로 보고되고 있으나, 우리나라에서는 5.7%, 12.7%, 30%, 36.7% 등으로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다. | ||
== 유전 == | == 유전 == | ||
유전되지는 않으나, 가족력이 있을 수 있다. 사람의 조직 적합성 항원 연구 결과, 몇몇 가족에서 HLA-DR2/DQw1과 같은 항원과의 연관성이 밝혀졌다. 최근 밝혀진 제 2형 조직 적합성 항원은 HLA-DR15, DR51, DR17이다. HLA-DR15를 가지고 있는 경우, 연관된 다른 질환인 다발성 경화증, 시신경염, 발작성 수면 등의 전신 증세가 함께 나타나기도 한다. HLA-B28은 중간 포도막염과 함께 관절통 및 보체 결핍증의 발병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 유전되지는 않으나, 가족력이 있을 수 있다. 사람의 조직 적합성 항원 연구 결과, 몇몇 가족에서 HLA-DR2/DQw1과 같은 항원과의 연관성이 밝혀졌다. 최근 밝혀진 제 2형 조직 적합성 항원은 HLA-DR15, DR51, DR17이다. HLA-DR15를 가지고 있는 경우, 연관된 다른 질환인 다발성 경화증, 시신경염, 발작성 수면 등의 전신 증세가 함께 나타나기도 한다. HLA-B28은 중간 포도막염과 함께 관절통 및 보체 결핍증의 발병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