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대세포 바이러스 망막염: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편집 요약 없음
잔글 (→‎치료)
잔글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b>거대 세포 바이러스 망막염 (cytomegalovirus retinitis; CMV retinitis)</b>
'''거대 세포 바이러스 망막염 (cytomegalovirus retinitis; CMV retinitis)'''{{망막}}
== 역학 ==
== 역학 ==
AIDS 환자에서 거대세포 바이러스는 가장 흔한 기회 감염이며 실명의 원인이다. <span style='color:blue;'>혈액 내 CD4+ 림프구 수가 50/mm³ 미만일 때 발생 위험이 높으며</span>, 100/mm³ 이상일 때는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고활성 항레트로 바이러스 요법(HAART)이 도입되기 전에는 AIDS 환자의 7~40%에서 보고되었으나, 도입 이후로는 망막염 발생이 현저히 감소하였으며, 발생하더라도 면역 기능이 좋아짐에따라 호전되는 경우가 많다.
AIDS 환자에서 거대세포 바이러스는 가장 흔한 기회 감염이며 실명의 원인이다. <span style='color:blue;'>혈액 내 CD4+ 림프구 수가 50/mm³ 미만일 때 발생 위험이 높으며</span>, 100/mm³ 이상일 때는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고활성 항레트로 바이러스 요법(HAART)이 도입되기 전에는 AIDS 환자의 7~40%에서 보고되었으나, 도입 이후로는 망막염 발생이 현저히 감소하였으며, 발생하더라도 면역 기능이 좋아짐에따라 호전되는 경우가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