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새 문서: 면역 회복 포도막염 (immune recovery uveitis) 은 거대 세포 바이러스 망막염이 있는 환자에서 HAART 치료 후 환자의 면역 기능이 좋아지면서...)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면역 회복 포도막염 (immune recovery uveitis) 은 [[ | '''면역 회복 포도막염 (immune recovery uveitis)'''{{망막}} 은 [[거대세포 바이러스 망막염]]이 있는 환자에서 HAART 치료 후 환자의 면역 기능이 좋아지면서 유발되는 안내 염증을 말한다. CD4+ 림프구 수가 100/mm³ 이상으로 회복된 후 2~16주 사이에 발생한다. | ||
== 역학 == | == 역학 == | ||
[[거대 세포 바이러스 망막염]] 환자의 17.4~37.5%에서 발생한다. | [[거대 세포 바이러스 망막염]] 환자의 17.4~37.5%에서 발생한다. | ||
14번째 줄: | 14번째 줄: | ||
== 예후 및 합병증 == | == 예후 및 합병증 == | ||
홍채염, 유리체염, 황반 부종, 황반 전막, 백내장, 유리체-황반 견인, [[증식 유리체 망막병증]], 유두 신생혈관, 망막 신생혈관, 홍채후 유착이나 [[급성 폐쇄각 녹내장]] 등의 합병증으로 영구적인 시력 손상을 유발할 수 있다. | 홍채염, 유리체염, 황반 부종, 황반 전막, 백내장, 유리체-황반 견인, [[증식 유리체 망막병증]], 유두 신생혈관, 망막 신생혈관, 홍채후 유착이나 [[급성 폐쇄각 녹내장]] 등의 합병증으로 영구적인 시력 손상을 유발할 수 있다. | ||
{{참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