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전성 맥락막 질환: 두 판 사이의 차이

1,078 바이트 추가됨 ,  2021년 8월 13일 (금)
잔글
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 (→‎PRPH2)
23번째 줄: 23번째 줄:
이 유전자의 돌연변이는 종류에 따라 망막 구아닐고리화 효소의 CGMP 생성 기능 소실 또는 세포내 칼슘 농도에 대한 감도 변화를 일으켜, [[레버 선천 흑암시]], [[원뿔-막대세포 이상증]] 및 [[중심 원형 맥락막 이상증]]과 같은 다양한 표현형을 나타낸다.
이 유전자의 돌연변이는 종류에 따라 망막 구아닐고리화 효소의 CGMP 생성 기능 소실 또는 세포내 칼슘 농도에 대한 감도 변화를 일으켜, [[레버 선천 흑암시]], [[원뿔-막대세포 이상증]] 및 [[중심 원형 맥락막 이상증]]과 같은 다양한 표현형을 나타낸다.
=== ''PRPH2'' ===
=== ''PRPH2'' ===
''PRPH2'' 유전자는 광수용체에서 PRPH2/RDS 단백질을 생성한다. 이 단백질의 역할은 아직 완전히 알려져 있지 않으나 광수용체 외절의 형태 형성 및 유지에 중요한
''PRPH2'' 유전자는 광수용체에서 PRPH2/RDS 단백질을 생성한다. 이 단백질의 역할은 아직 완전히 알려져 있지 않으나 광수용체 외절의 형태 형성 및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유전자의 돌연변이는 주로 막대세포 또는 원뿔세포에 이상을 일으키고, 그에 따라 망막 색소상피 및 맥락막 모세혈관에 이차적인 변화를 일으켜 망막 색소 변성, 무늬 이상증, [[중심 원형 맥락막 이상증]] 등과 같은 다양한 표현형으 ㄹ나타낸다.
=== ''TEAD1'' ===
''TEAD1'' 유전자는 전사 증폭 인자 1 (transcriptional enhancer factor 1, TEF-1) 을 생성한다. 이 단백질은 다양한 유전자의 전사 촉진을 지시하고, 태반 세포에서는 전사 억제자 역할도 한다. 이 유전자의 돌연변이는 [[유두 주위 맥락막 이상증]]을 유발하는데, 이 유전자의 망막내 기능에 대해서는 아직 구체적으로 알려진 바가 없다. 유두 주위 맥락막 이상증의 조직 검사에서 망막 색소상피의 변화가 맥락막 모세혈관의 위축에 선행하는 것이 관찰되었는데, 이는 이 유전자의 이상이 망막 색소상피의 이상을 일으킴을 시사한다.
{{참고}}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