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새 문서: <b>보툴리눔 독소 중독 (botulism)</b> == 원인 == 오염된 캔음식이나 고기 섭취, 창상 오염, 혹은 영아에서의 위장관내 군체 형성 등으로 <i>Clostr...)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보툴리눔 독소 중독 (botulism)'''{{신경안과}} | |||
== 원인 == | == 원인 == | ||
오염된 캔음식이나 고기 섭취, 창상 오염, 혹은 영아에서의 위장관내 군체 형성 등으로 <i>Clostridium botulinum</i> 에 노출되면 [[보툴리눔 독소]]가 신경근 접합부나 콜린성 자율신경 시냅스에 콜린성 신경 전달을 방해하여 하행성으로 양측성 마비가 발생한다. | 오염된 캔음식이나 고기 섭취, 창상 오염, 혹은 영아에서의 위장관내 군체 형성 등으로 <i>Clostridium botulinum</i> 에 노출되면 [[보툴리눔 독소]]가 신경근 접합부나 콜린성 자율신경 시냅스에 콜린성 신경 전달을 방해하여 하행성으로 양측성 마비가 발생한다. | ||
10번째 줄: | 10번째 줄: | ||
== 예후 == | == 예후 == | ||
중독이 의심되는 모든 환자에 대해 심혈관 및 호흡계 증상이 발생하지 않는지 주의 깊게 모니터해야 한다. 식품으로 인한 경우 치사율은 5~20% 가량이며, 영아에서나 창상 감염으로 인한 경우에는 그보다 낮다. | 중독이 의심되는 모든 환자에 대해 심혈관 및 호흡계 증상이 발생하지 않는지 주의 깊게 모니터해야 한다. 식품으로 인한 경우 치사율은 5~20% 가량이며, 영아에서나 창상 감염으로 인한 경우에는 그보다 낮다. | ||
{{참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