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심 장액 맥락망막병증: 두 판 사이의 차이

74 바이트 제거됨 ,  2021년 8월 18일 (수)
잔글
잔글 (→‎역사)
잔글 (→‎역학)
6번째 줄: 6번째 줄:


== 역학 ==
== 역학 ==
이전 보고에 따르면 10만명 중 5.8명의 발생률을 보이고, <span style='color:blue;'>남자</span>가 여자보다 6배 정도 많고<ref>Kitzmann AS et al. The incidence of CSC in Olmsted County, Minnesota, 1980-2002. Ophthalmology. 2008 Jan;115(1):169-73. [https://pubmed.ncbi.nlm.nih.gov/18166410/ 연결]</ref>, 대개 <span style='color:blue;'>30~50대까지의 청, 장년층</span>에서 많이 발생한다. 처음 진단 시 양안 동시 발병률은 4% 정도이지만 양안을 침범하는 경우는 40%까지도 높게 보고되며, 주로 만성 환자에서 양안성이 많은 경향이 있다.<br />인종적으로도 차이가 있어 흑인에서는 매우 드물고 <span style='color:blue;'>백인, 동양인 등</span>에 빈번하게 발생하며, 미국 거주 흑인들에서는 드물게 나타나지만 발생 시 심한 양상을 보인다고 알려져 있다. 이는 스트레스에 대한 과도한 교감신경성 반응을 보이는 성향 때문으로 보인다. 가족력이나 계절적으로 봄에 많이 발생한다는 보고도 있으나 확실하지는 않다.
<span style='color:blue;'>남자</span>가 여자보다 6배 정도 많고<ref>Kitzmann AS et al. The incidence of CSC in Olmsted County, Minnesota, 1980-2002. Ophthalmology. 2008 Jan;115(1):169-73. [https://pubmed.ncbi.nlm.nih.gov/18166410/ 연결]</ref>, 대개 <span style='color:blue;'>30~50대까지의 청, 장년층</span>에서 많이 발생한다. 처음 진단 시 양안 동시 발병률은 4% 정도이지만 양안을 침범하는 경우는 40%까지도 높게 보고되며, 주로 만성 환자에서 양안성이 많은 경향이 있다.<br />인종적으로도 차이가 있어 흑인에서는 매우 드물고 <span style='color:blue;'>백인, 동양인 등</span>에 빈번하게 발생하며, 미국 거주 흑인들에서는 드물게 나타나지만 발생 시 심한 양상을 보인다고 알려져 있다. 이는 스트레스에 대한 과도한 교감신경성 반응을 보이는 성향 때문으로 보인다. 가족력이나 계절적으로 봄에 많이 발생한다는 보고도 있으나 확실하지는 않다.


== 병태 생리 ==
== 병태 생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