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3번째 줄: | 3번째 줄: | ||
아래의 4가지 아형 이외에도 추가적으로 15개의 비전형적인 형태의 질환들이 보고가 되고 있다. | 아래의 4가지 아형 이외에도 추가적으로 15개의 비전형적인 형태의 질환들이 보고가 되고 있다. | ||
=== 유아기 발생형 (infantile [I] NCL, CLN1) === | === 유아기 발생형 (infantile [I] NCL, CLN1) === | ||
Haltria-Santa-vuori disease, Hagberg-Santavuori disease 또는 간단히 Finnish form 이라고도 불리운다. 8~ | Haltria-Santa-vuori disease, Hagberg-Santavuori disease 또는 간단히 Finnish form 이라고도 불리운다. 8~24개월 사이에 발생하고 근긴장이 떨어지고 사회적 반응이 떨어지는 증상을 통해 발견되고 이후 급격한 정신-신체 기능의 소실, 근간대 경련, 시력 저하를 보이고 마비와 식물 인간 상태를 보인다. 라이소좀 효소인 palmitoyl protein thioesterase 1 (PPT1) 의 돌연변이로 발생한다. | ||
=== 후기 유아기 발생형 (late infantile [LI] NCL, CLN2) === | === 후기 유아기 발생형 (late infantile [LI] NCL, CLN2) === | ||
Jansky-Bielschowsky 병이라고도 불린다. 라이소좀 효소 중 하나인 CLN2 유전자가 코딩하는 tripeptidyl peptidase 1 (TPP1) 단백질의 이상으로 발생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언어 습득이 지연되는 경우가 있다. 2~4세에서 운동 기능의 저하, 언어 장애, 발달 장애, 경련 그리고 비교적 늦게 나타나는 시력 저하를 보인다. 어넝, 운동, 시력 장애는 서서히 진행하여 10대 중반에 사망에 이른다. | Jansky-Bielschowsky 병이라고도 불린다. 라이소좀 효소 중 하나인 CLN2 유전자가 코딩하는 tripeptidyl peptidase 1 (TPP1) 단백질의 이상으로 발생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언어 습득이 지연되는 경우가 있다. 2~4세에서 운동 기능의 저하, 언어 장애, 발달 장애, 경련 그리고 비교적 늦게 나타나는 시력 저하를 보인다. 어넝, 운동, 시력 장애는 서서히 진행하여 10대 중반에 사망에 이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