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프숨병: 두 판 사이의 차이

97 바이트 추가됨 ,  2021년 8월 18일 (수)
잔글
5번째 줄: 5번째 줄:


=== 성인 (adult Refsum disease, ARD) ===
=== 성인 (adult Refsum disease, ARD) ===
Heredopathia atactica polyneuritiformis 로 불리는 이 질환은 1946년에 보고되었다. 초기 증상은 운동 실조증, 사지의 위약증이 나타나고 늦은 유년기에 야맹증이 나타난다. 진행성의 말초 신경병증, 말초성 근육 위축과 심장의 전도 장애가 나타난다. 다른 흔한 이상으로는 감각 이상, 후각 상실증, 난청, 피부의 비늘증, 뼈끝 형성 이상 등이 나타난다. 눈의 이상으로는 백내장, 동공 수축과 망막병증이 나타난다. 야맹증은 10대에 나타나고 뒤이어 주변부 시야 장애가 나타나며, 색소 망막변성은 20대까지 잘 안 나타난다. ERG는 대부분에서 심각하게 저하되어 있다.
Heredopathia atactica polyneuritiformis 로 불리는 이 질환은 1946년에 보고되었으며, 과산화소체 효소 기능의 이상으로 발생하고 성인이 되어서 나타난다. 초기 증상은 운동 실조증, 사지의 위약증이 나타나고 늦은 유년기에 야맹증이 나타난다. 진행성의 말초 신경병증, 말초성 근육 위축과 심장의 전도 장애가 나타난다. 다른 흔한 이상으로는 감각 이상, 후각 상실증, 난청, 피부의 비늘증, 뼈끝 형성 이상 등이 나타난다. 눈의 이상으로는 백내장, 동공 수축과 망막병증이 나타난다. 야맹증은 10대에 나타나고 뒤이어 주변부 시야 장애가 나타나며, 색소 망막변성은 20대까지 잘 안 나타난다. ERG는 대부분에서 심각하게 저하되어 있다.


파탄산 산화 작용의 장애로 혈중, 뇨중 피탄산의 농도는 크게 증가되어 있다. 뇌척수액의 단백질 농도도 증가되어 있다. 유소년형의 원인이 되는 과산화소체 생합성의 장애라기 보다는 ''PHYH''가 인코딩하는 phytanoyl-coenzyme A hydroxylase (PAHX) 의 장애나 ''PEX7'' 돌연변이에 의한 ''PTS2'' 수용체의 이상 등이 원인으로 보고되어 있다.
파탄산 산화 작용의 장애로 혈중, 뇨중 피탄산의 농도는 크게 증가되어 있다. 뇌척수액의 단백질 농도도 증가되어 있다. 유소년형의 원인이 되는 과산화소체 생합성의 장애라기 보다는 ''PHYH''가 인코딩하는 phytanoyl-coenzyme A hydroxylase (PAHX) 의 장애나 ''PEX7'' 돌연변이에 의한 ''PTS2'' 수용체의 이상 등이 원인으로 보고되어 있다.


낙농 제품에 많은 피탄산의 섭취 제한은 병의 진행을 늦추고 비늘증이나 신경학적 장애, 심장 장애를 호전시킨다. 시력이나 청력의 호전은 제한적이고 다른 징후를 늦추는 것으로 보인다.
낙농 제품에 많은 피탄산의 섭취 제한은 병의 진행을 늦추고 비늘증이나 신경학적 장애, 심장 장애를 호전시킨다. 시력이나 청력의 호전은 제한적이고 다른 징후를 늦추는 것으로 보인다.
== 유전 ==
== 유전 ==
상염색체 열성 유전 양상을 띠고 있으며, 관여하는 유전자는 ''PEX1'', ''PEX7'', ''PXMP3'', ''PAHX'', ''PHYH'' 등이 알려져 있으며, 이 역시 망막 색소변성증에도 연관이 있음이 밝혀졌다.
상염색체 열성 유전 양상을 띠고 있으며, 관여하는 유전자는 ''PEX1'', ''PEX7'', ''PXMP3'', ''PAHX'', ''PHYH'' 등이 알려져 있으며, 이 역시 망막 색소변성증에도 연관이 있음이 밝혀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