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팔꽃 유두 이상: 두 판 사이의 차이

445 바이트 추가됨 ,  2021년 8월 19일 (목)
잔글
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b>나팔꽃 유두 이상 (morning glory disc anomaly)</b> 나팔꽃 증후군(morning glory syndrome)이라고도 부르며 시신경 유두의 선천 이상으로 모양이 나팔꽃처럼 생겨서 붙여진 이름이다.
'''나팔꽃 유두 이상 (morning glory disc anomaly)'''{{신경안과}}{{망막}} 1970년 Kindler에 의해 나팔꽃과 닮은 모양르 보고 'morning glory syndrome'으로 이름이 붙여졌으며, 중심부에 흰색의 교세포술 (white glial tuft) 과 깔때기 모양의 함몰 (funnel shaped cavity) 을 가진 크기가 큰 시신경 유두와 그 주변의 맥락망막 위축을 특징으로 하는 선천성 질환이다.\
== 역학 ==
== 역학 ==
대개 한쪽 눈, 특히 <span style='color:blue;'>오른쪽 눈</span>에 잘 발생하고 여자에 많다.
대개 한쪽 눈, 특히 <span style='color:blue;'>오른쪽 눈</span>에 잘 발생하고 여자에 많다.
== 유전 ==
관련 유전 인자는 밝혀진 것이 없다.
== 원인 ==
== 원인 ==
* 태아 안열이 닫혀지지 않아서 생기는 일종의 시신경 결손이라는 설
* 태아 안열이 닫혀지지 않아서 생기는 일종의 시신경 결손이라는 설
14번째 줄: 16번째 줄:
== 임상 소견 ==
== 임상 소견 ==
시신경 유두는 <span style='color:blue;'>크고 중앙이 뒤로 패여 있어 깔때기 같으며 색깔은 주황색</span>으로, 포도망막 색소 이상이 약간 융기된 유두 주위를 둘러싸고 있다. 유두의 중앙에는 신경교 조직의 총맥(tuft)이 있으며, 망막 혈관들은 일찍 분지되어 유두 주변으로 나오는데 그 수가 정상보다 많고 나와서는 <span style='color:blue;'>바로 방사상으로 망막 주변으로 퍼진다</span>.
시신경 유두는 <span style='color:blue;'>크고 중앙이 뒤로 패여 있어 깔때기 같으며 색깔은 주황색</span>으로, 포도망막 색소 이상이 약간 융기된 유두 주위를 둘러싸고 있다. 유두의 중앙에는 신경교 조직의 총맥(tuft)이 있으며, 망막 혈관들은 일찍 분지되어 유두 주변으로 나오는데 그 수가 정상보다 많고 나와서는 <span style='color:blue;'>바로 방사상으로 망막 주변으로 퍼진다</span>.
{{참고|신경안과}}
 
단안성이 많으나 양안도 발생할 수 있으며 시력 예후는 불량해서 20/100~20/200 정도이다. 30%에서 삼출성 망막 박리 (serous RD) 가 발생한다.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