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신경 유두 드루젠: 두 판 사이의 차이

505 바이트 추가됨 ,  2021년 8월 19일 (목)
잔글
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시신경 유두 드루젠 (optic disc drusen; ODD)
'''시신경 유두 드루젠 (optic disc drusen; ODD)'''{{신경안과}}{{망막}} 은 1856년 Müller가 병리조직학 연구를 통해 시신경 유두의 concretion으로 처음 보고하였고 이후 Leibrich가 1968년에 시신경 유두 드루젠 이라고 하였다.
 
칼슘 성분이 포함된 acellular concretion 인데, 아미노산, 핵산, 뮤코폴리사카라이드, 철도 포함되어 있다.
== 발생 기전 ==
== 발생 기전 ==
시신경관 또는 [[시신경 유두]]와 혈관의 형성 이상으로 인해 사상판이 좁아지고, 그 결과 시신경 축삭이 안구에서 나가기 힘들어져 발생한다. [[시신경 유두]]가 작고 유두 함몰이 없으면 시신경 축삭이 심하게 밀집되어 분포하여 축삭 이동에 장해가 생기고 그 결과 축삭의 대사 이상으로 인해 축삭내 사립체에 칼슘 결정체가 침착된다. 결국 축삭이 파열되어 사립체가 세포 밖으로 나오게 되고 칼슘이 점점 더 많이 침착되는데, 이렇게 석회화된 사립체가 응축되어 드루젠을 형성하게 된다.
시신경관 또는 [[시신경 유두]]와 혈관의 형성 이상으로 인해 사상판이 좁아지고, 그 결과 시신경 축삭이 안구에서 나가기 힘들어져 발생한다. [[시신경 유두]]가 작고 유두 함몰이 없으면 시신경 축삭이 심하게 밀집되어 분포하여 축삭 이동에 장해가 생기고 그 결과 축삭의 대사 이상으로 인해 축삭내 사립체에 칼슘 결정체가 침착된다. 결국 축삭이 파열되어 사립체가 세포 밖으로 나오게 되고 칼슘이 점점 더 많이 침착되는데, 이렇게 석회화된 사립체가 응축되어 드루젠을 형성하게 된다.
== 역학 ==
== 역학 ==
약 75%에서 두 눈에 발생하며 많게는 9*2%까지 보고되어 있다. 남녀 발생률에 차이가 없다고 알려져 있으나 최근에는 여성에서 더 많이 발생한다는 보고도 있다. 가족력이 있는 경우에는 상염색체 우성 유전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유병률은 카데바를 이용한 조직학적 연구에서 약 2.4% 였으며, OCT를 이용한 연구에서는 약 1.0% 였다. 약 75%에서 두 눈에 발생하며 많게는 91.2%까지 보고되어 있다. 남녀 발생률에 차이가 없다고 알려져 있으나 최근에는 여성에서 더 많이 발생한다는 보고도 있다. 가족력이 있는 경우에는 상염색체 우성 유전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분류 ==
== 분류 ==
* 유두 표면에 위치한 드루젠 : 유두 위 또는 주위에 연한 노란색으로 둥글고 약간 불규칙하에 튀어나와 있으며 다양한 크기로 흩어져 있거나 둥글게 뭉쳐 있다. 때로는 유두 표면 바로 아래에 드루젠이 있어 간접 불빛을 받아 반짝이기도 한다.
* 유두 표면에 위치한 드루젠 : 유두 위 또는 주위에 연한 노란색으로 둥글고 약간 불규칙하에 튀어나와 있으며 다양한 크기로 흩어져 있거나 둥글게 뭉쳐 있다. 때로는 유두 표면 바로 아래에 드루젠이 있어 간접 불빛을 받아 반짝이기도 한다.
9번째 줄: 11번째 줄:
== 관련 질환 ==
== 관련 질환 ==
대개 전신 질환이나 안과 질환 혹은 신경과 질환과 연관이 없다. 그러나 가끔 [[망막 색소 변성]], 탄력섬유 거짓황색종, [[혈관 줄무늬 망막병증]]에 드루젠이 동반된다. [[망막 색소 변성]]에 동반된 유두 드루젠은 유두 크기가 정상적이며 유두가 융기되어 있지 않고 유두 경계 부근에서 연노란색 드루젠이 보인다.
대개 전신 질환이나 안과 질환 혹은 신경과 질환과 연관이 없다. 그러나 가끔 [[망막 색소 변성]], 탄력섬유 거짓황색종, [[혈관 줄무늬 망막병증]]에 드루젠이 동반된다. [[망막 색소 변성]]에 동반된 유두 드루젠은 유두 크기가 정상적이며 유두가 융기되어 있지 않고 유두 경계 부근에서 연노란색 드루젠이 보인다.
== 임상 소견 ==
== 임상 소견 ==
일생 동안 별다른 시각 증상 없이 지내지만 가끔 시력이 갑자기 떨어지는 경우도 있다. 많게는 75% 정도에서 다양한 형태의 주변 시야 결손이 나타난다. 대부분 시신경 섬유가 서서히 위축되면서 오랜 시간에 걸쳐 시야 결손이 발생하므로 환자는 증상을 느끼지 못하는 경우가 많으나, 갑자기 시야 장애가 나타날 수도 있다. 시야 결손은 [[시신경 유두]] 속에 묻혀 있는 드루젠보다 표면 드루젠에서 주로 발생하며, 표면 드루젠의 위치와 시야 결손의 위치는 상관 관계가 없다고 알려져 있다.<br />중심 시력 상실은 매우 드물지만, 일시적이고 단계적으로 주변 시야가 감소한 뒤 갑자기 시력이 상실되는 경우도 있다. 유두 앞 또는 주위에서 출혈이 발생할 수 있으나 대부분 예후가 좋으며 가끔 성인에서 공막관의 크기가 작아 혈관이 밀집되어 망막 혈관 폐쇄가 발생할 수도 있다. 8.6% 정도에서 시신경 유두의 비정상적 융기로 인해 안구내 혈류 장애가 일어나 일시적으로 시력이 감소할 수도 있다. 성인보다 어린이에서 유두 주위 망막하 신생혈관이 드물게 발생하여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시력이 감소하기도 한다.
일생 동안 별다른 시각 증상 없이 지내지만 가끔 시력이 갑자기 떨어지는 경우도 있다. 많게는 75% 정도에서 다양한 형태의 주변 시야 결손이 나타난다. 대부분 시신경 섬유가 서서히 위축되면서 오랜 시간에 걸쳐 시야 결손이 발생하므로 환자는 증상을 느끼지 못하는 경우가 많으나, 갑자기 시야 장애가 나타날 수도 있다. 시야 결손은 [[시신경 유두]] 속에 묻혀 있는 드루젠보다 표면 드루젠에서 주로 발생하며, 표면 드루젠의 위치와 시야 결손의 위치는 상관 관계가 없다고 알려져 있다.<br />중심 시력 상실은 매우 드물지만, 일시적이고 단계적으로 주변 시야가 감소한 뒤 갑자기 시력이 상실되는 경우도 있다. 유두 앞 또는 주위에서 출혈이 발생할 수 있으나 대부분 예후가 좋으며 가끔 성인에서 공막관의 크기가 작아 혈관이 밀집되어 망막 혈관 폐쇄가 발생할 수도 있다. 8.6% 정도에서 시신경 유두의 비정상적 융기로 인해 안구내 혈류 장애가 일어나 일시적으로 시력이 감소할 수도 있다. 성인보다 어린이에서 유두 주위 망막하 신생혈관이 드물게 발생하여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시력이 감소하기도 한다.
17번째 줄: 18번째 줄:
== 치료 ==
== 치료 ==
대부분 필요 없다. 그러나 지속적으로 안압을 측정하고 혈관계 합병증이 없는지 잘 관찰해야 한다. 또한 정기적으로 시야 검사를 시행해야 한다. 만약 커져서 시야 장애가 나타난다면 안압 하강제 투여를 고려해볼 수 있다. 드물지만, 19개 예에 시신경 유두 드루젠으로 인한 시야 장애에 시신경집 감압술을 시행하여 시야가 호전되었다는 결과를 보고한 연구가 있다.
대부분 필요 없다. 그러나 지속적으로 안압을 측정하고 혈관계 합병증이 없는지 잘 관찰해야 한다. 또한 정기적으로 시야 검사를 시행해야 한다. 만약 커져서 시야 장애가 나타난다면 안압 하강제 투여를 고려해볼 수 있다. 드물지만, 19개 예에 시신경 유두 드루젠으로 인한 시야 장애에 시신경집 감압술을 시행하여 시야가 호전되었다는 결과를 보고한 연구가 있다.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