톡소플라즈마증: 두 판 사이의 차이

146 바이트 제거됨 ,  2021년 8월 19일 (목)
잔글
잔글 (→‎역학)
잔글 (→‎원인)
5번째 줄: 5번째 줄:
나이가 들어갈수록 혈청 반응에 양성을 보이는 확률은 높아지며 남녀의 차이는 없다. 난모세포의 감염력 유지 여부는 환경적인 요소와 지역적 특성에 따라 다르다. 음식물을 조리하는 식습관과 위생 수준도 영향을 줄 수 있다. 인간에서 인간으로의 전염은 없으며 한 가족 안의 동시 감염은 동일한 식조건 및 환경적 요인 때문이다. 고양이, 작은 포유류, 그리고 조류들이 자연 보유자이다.
나이가 들어갈수록 혈청 반응에 양성을 보이는 확률은 높아지며 남녀의 차이는 없다. 난모세포의 감염력 유지 여부는 환경적인 요소와 지역적 특성에 따라 다르다. 음식물을 조리하는 식습관과 위생 수준도 영향을 줄 수 있다. 인간에서 인간으로의 전염은 없으며 한 가족 안의 동시 감염은 동일한 식조건 및 환경적 요인 때문이다. 고양이, 작은 포유류, 그리고 조류들이 자연 보유자이다.


== 원인 ==
고양이를 종숙주로 하는 세포내 기생충인 [[톡소플라즈마]] (<i>toxoplasma gondii</i>)에 의한 감염증이다.
== 병태 생리 ==
== 병태 생리 ==
빠른분열소체는 혈류를 통해 신경 조직을 침범하며 먼저 망막표층, 이후 맥락막을 침범하여 망막맥락막염을 유발한다. 건강한 숙주에서 빠른분열소체는 분열을 멈추고 낭포로 둘러싸인 느린분열소체로 전환되어 염증 반응 없이 지속적인 분열을 한다. 낭포가 분열하는 느린분열소체를 더 이상 가지고 있지 못하면 낭포는 파열되고 숙주에서 망막염의 재발과 연관된다. 톡소플라즈마에 의한 눈 조직 파괴는 망막 안의 낭포 파열 때 낭포 안의 내용물로 인한 과민반응 때문이라는 학설도 있고, 과민반응보다는 직접 현성 감염이나 유리된 독소가 눈 조직을 파괴한다는 학설도 있다.
빠른분열소체는 혈류를 통해 신경 조직을 침범하며 먼저 망막표층, 이후 맥락막을 침범하여 망막맥락막염을 유발한다. 건강한 숙주에서 빠른분열소체는 분열을 멈추고 낭포로 둘러싸인 느린분열소체로 전환되어 염증 반응 없이 지속적인 분열을 한다. 낭포가 분열하는 느린분열소체를 더 이상 가지고 있지 못하면 낭포는 파열되고 숙주에서 망막염의 재발과 연관된다. 톡소플라즈마에 의한 눈 조직 파괴는 망막 안의 낭포 파열 때 낭포 안의 내용물로 인한 과민반응 때문이라는 학설도 있고, 과민반응보다는 직접 현성 감염이나 유리된 독소가 눈 조직을 파괴한다는 학설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