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편집 요약 없음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9번째 줄: | 9번째 줄: | ||
빠른분열소체는 혈류를 통해 신경 조직을 침범하며 먼저 망막표층, 이후 맥락막을 침범하여 망막맥락막염을 유발한다. 건강한 숙주에서 빠른분열소체는 분열을 멈추고 낭포로 둘러싸인 느린분열소체로 전환되어 염증 반응 없이 지속적인 분열을 한다. 낭포가 분열하는 느린분열소체를 더 이상 가지고 있지 못하면 낭포는 파열되고 숙주에서 망막염의 재발과 연관된다. 톡소플라즈마에 의한 눈 조직 파괴는 망막 안의 낭포 파열 때 낭포 안의 내용물로 인한 과민반응 때문이라는 학설도 있고, 과민반응보다는 직접 현성 감염이나 유리된 독소가 눈 조직을 파괴한다는 학설도 있다. | 빠른분열소체는 혈류를 통해 신경 조직을 침범하며 먼저 망막표층, 이후 맥락막을 침범하여 망막맥락막염을 유발한다. 건강한 숙주에서 빠른분열소체는 분열을 멈추고 낭포로 둘러싸인 느린분열소체로 전환되어 염증 반응 없이 지속적인 분열을 한다. 낭포가 분열하는 느린분열소체를 더 이상 가지고 있지 못하면 낭포는 파열되고 숙주에서 망막염의 재발과 연관된다. 톡소플라즈마에 의한 눈 조직 파괴는 망막 안의 낭포 파열 때 낭포 안의 내용물로 인한 과민반응 때문이라는 학설도 있고, 과민반응보다는 직접 현성 감염이나 유리된 독소가 눈 조직을 파괴한다는 학설도 있다. | ||
== 분류 == | == 분류 == | ||
=== 선천 톡소플라즈마증 === | |||
태반 전이를 통하며 신생아 10,000명 당 1명 꼴로 발생한다. | |||
=== 후천 톡소플라즈마증 === | |||
=== 면역 저하자의 톡소플라즈마증 === | |||
=== [[눈 톡소플라즈마증]] === | |||
{{참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