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편집 요약 없음 |
잔글 (→치료) |
||
9번째 줄: | 9번째 줄: | ||
기생충의 감염 형태와 인간의 접촉을 막는 것이 중요하다. 조직낭포를 통한 전염을 막기 위해 고기는 잘 익혀 먹어야 하며 고양이나 더러운 흙을 만진 뒤 손을 잘 씻고 필요한 경우 장갑을 이용한다. 면역 저하자와 항체가 없는 임산부는 고양이를 멀리해야 한다. | 기생충의 감염 형태와 인간의 접촉을 막는 것이 중요하다. 조직낭포를 통한 전염을 막기 위해 고기는 잘 익혀 먹어야 하며 고양이나 더러운 흙을 만진 뒤 손을 잘 씻고 필요한 경우 장갑을 이용한다. 면역 저하자와 항체가 없는 임산부는 고양이를 멀리해야 한다. | ||
== 치료 == | == 치료 == | ||
=== 항생제 === | |||
==== pyrimethamine ==== | |||
==== sufadiazine ==== | |||
==== clindamycin ==== | |||
==== atovaquone ==== | |||
==== spiramycin ==== | |||
== 스테로이드 == | |||
스테로이드의 전신 투여는 부가적으로 사용된다. 염증 반응이 심하고 망막 병변이 시력 장애를 유발하는 위치에 있을 때 망막과 주위 조직 손상을 막아 시력 장애를 유발하는 위치에 있을 때 망막과 주위 조직 손상을 막아 시력을 보전하기 위해 사용한다. 단독 투여 시 감염의 악화로 인해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할 때는 반드시 다른 항생제와 병용 투여하여야 한다. 성인의 경우 60~100mg/d 를 경구 투여하며 안구 주위 주사는 피한다. 일반적으로 AIDS 환자와 면역 저하자에서는 사용하지 않는다. | |||
=== 레이저 치료, 냉동 요법 === | |||
빠른 분열소체 뿐만 아니라 조직낭포 또한 파괴할 수 있다. 하지만 조직낭포는 안과적 검사 상 정상으로 보이는 조직에도 있을 수 있어 완전한 치료 목적으로는 한계가 있다. 레이저 광응고술은 급성 병변에서 망막 출혈 및 유리체 출혈, 망막 박리 등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또한 높은 에너지 조사로 인한 브루크막 파열에 주의하여야 한다. | |||
=== 유리체강 내 주사 === | |||
고전적 경구 약물 치료 대신 1~3회에 걸쳐 유리체강으로 clindamycin과 dexamethasone을 주입 후 거의 대등한 효과를 보였다는 보고가 있다. 이 방법은 4~6주간의 경구 약물 치료에 비해 전신 부작용이 적고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유리체강내 주사로 발생하는 합병증을 고려해야 하며 경구 약물 치료가 필요한 톡소플라즈마증에서 전신 감염이 조절되지 않으므로 주의를 요한다. | |||
== 예후 및 합병증 == | == 예후 및 합병증 == | ||
5년 재발률은 79%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5년 재발률은 79%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
{{참고}} | {{참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