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섬유층: 두 판 사이의 차이

571 바이트 추가됨 ,  2021년 8월 20일 (금)
잔글
편집 요약 없음
잔글 (Smile님이 망막 신경 섬유층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신경섬유층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잔글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망막 신경 섬유층 (retinal nerve fiber layer; RNFL) 은 [[신경절 세포]]의 축삭 돌기로 구성된 층으로 축삭 돌기가 속을 이루면서 시신경 유두로 집합한다. 유두-황반 섬유는 직진하나 다른 부위는 규칙적으로 방사상 주행을 한다. 축삭 돌기 내에는 미소관과 사상체가 풍분하게 존재하며 그 사이사이에 미토콘드리아가 들어있다.
망막의 '''신경섬유층 (nerve fiber layer; NFL)'''{{망막}} 은 [[신경절 세포]]의 축삭 돌기로 구성된 층으로 축삭 돌기가 속을 이루면서 시신경 유두로 집합한다. 망막 표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주행하다가, 시신경 유두 부위에서 직각으로 꺾인 후 사상판을 통과해 시신경이 되어 안구를 빠져나간다.
 
유두-황반 섬유는 직진하나 다른 부위는 규칙적으로 방사상 주행을 하며, 황반 부위에서 시신경 유두쪽으로 방사되는 섬유층은 시신경 유두-황반 다발 (papillomacular bundle) 이라고 부른다. 표층 모세혈관층을 포함한 망막의 혈관은 신경섬유층에 분포한다. [[뮬러 세포]]의 신경 돌기들을 신경섬유층에서 흔히 관찰되며, 이들은 혈관과 신경 섬유를 감싼다. 축삭 돌기 내에는 미소관과 사상체가 풍분하게 존재하며 그 사이사이에 미토콘드리아가 들어있다.
== 기능 ==
== 기능 ==
축삭류를 순행 및 역행의 양방향을 띠고 있으며 축삭 돌기 내 단백질 대사, 신경 전달 물질의 수송, 신경 흥분의 전달 등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축삭류를 순행 및 역행의 양방향을 띠고 있으며 축삭 돌기 내 단백질 대사, 신경 전달 물질의 수송, 신경 흥분의 전달 등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