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막 색소상피: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342 바이트 추가됨 ,  2021년 8월 21일 (토)
잔글
편집 요약 없음
잔글 (Smile님이 망막 색소 상피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망막 색소상피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잔글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망막 색소상피 (retinal pigment epithelium; RPE)''''{{망막}} 는 육각기둥 형태의 세포이며 한 층으로 배열되어 있다. 한 눈에 4~6백만개의 망막색소상피가 존재하며 후극부에서는 일정한 모양의 크기로 약 14㎛ 직경의 세포들이 위치한다. 적도부로 갈수록 망막색소상피는 얇고 커져서 크기가 불규칙해지고 어떤 세포는 한 개 이상의 핵을 가지기도 하며 거상연에서는 크기가 60㎛까지 되기도 한다. 반교소체에 의해 브루크막에 단단히 결합되어 있고 세표 표면에는 다수의 불규칙한 돌기가 있으며 이 돌기 사이사이로 시세포 외절이 들어와 가볍게 접착되어 있다. 원뿔 세포와 막대 세포의 외절이 크기가 다르기 때문에 막대 세포의 외절을 둘러싸는 돌기가 더 작다. 인접 세포 간에는 표층 부근에 폐쇄대, 간극 결합, 교소체에 의해 형성된 폐쇄릉이 있어 맥락막 측으로부터 망막 쪽으로의 물질의 자유로운 확산과 이동을 막는다.
'''망막 색소상피 (retinal pigment epithelium; RPE)''''{{망막}} 는 육각기둥 형태의 세포이며 한 층으로 배열되어 있다. 성인의 안구에는 평균적으로 350만개 (210~470만개) 의 색소상피 세포가 존재하며 후극부에서는 일정한 모양의 크기로 약 14㎛ 직경의 세포들이 위치한다. 적도부로 갈수록 망막색소상피는 얇고 커져서 크기가 불규칙해지고 어떤 세포는 한 개 이상의 핵을 가지기도 하며 거상연에서는 크기가 60㎛까지 되기도 한다. 반교소체에 의해 브루크막에 단단히 결합되어 있고 세표 표면에는 다수의 불규칙한 돌기가 있으며 이 돌기 사이사이로 시세포 외절이 들어와 가볍게 접착되어 있다. 원뿔 세포와 막대 세포의 외절이 크기가 다르기 때문에 막대 세포의 외절을 둘러싸는 돌기가 더 작다. 인접 세포 간에는 표층 부근에 폐쇄대, 간극 결합, 교소체에 의해 형성된 폐쇄릉이 있어 맥락막 측으로부터 망막 쪽으로의 물질의 자유로운 확산과 이동을 막는다.
 
중심와에서는 30~40개의 원뿔세포와 연결되며, 주변부에서는 약 1개의 원뿔세포와 연결된다. 막대세포의 경우 막대세포가 존재하지 않는 중심소와 부위를 제외하고는 약 15~20개의 막대세포가 하나의 색소상피세포와 연결된다.
== 기능 ==
== 기능 ==
맥락막에 있는 멜라닌 색소와 함께 안구 내로 들어온 빛을 흡수하여 빛의 반사를 억제하며 맥락막과 시세포 간의 영양 물질 수송에 관여한다. 또한 막대세포 속의 로돕신이 분해된 후 재합성되는 장소가 되며, 절단된 시세포 외절을 탐식 처리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는데, 탐식된 외절은 브루크막에 쌓이거나 세포 내에 [[lipofuscin]]으로 남아 있게 된다. 그 외에도 [[망막하액]]의 함수량을 조절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맥락막에 있는 멜라닌 색소와 함께 안구 내로 들어온 빛을 흡수하여 빛의 반사를 억제하며 맥락막과 시세포 간의 영양 물질 수송에 관여한다. 또한 막대세포 속의 로돕신이 분해된 후 재합성되는 장소가 되며, 절단된 시세포 외절을 탐식 처리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는데, 탐식된 외절은 브루크막에 쌓이거나 세포 내에 [[lipofuscin]]으로 남아 있게 된다. 그 외에도 [[망막하액]]의 함수량을 조절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참고}}
{{참고}}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