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신경염: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2,558 바이트 추가됨 ,  2021년 8월 22일 (일)
잔글
26번째 줄: 26번째 줄:
시력 검사, 동공 검사, 시야 검사, 색각 검사, 시유발전위 검사, 검안겅 소견, CT 혹은 MRI 촬영 등으로 진단한다. 급성기에는 색에 대한 동공 반응이 광 자극에 대한 동공 반응보다 훨씬 장애가 심한데, 이런 현상은 다발성 경화증 환자에서 더 두드러진다.
시력 검사, 동공 검사, 시야 검사, 색각 검사, 시유발전위 검사, 검안겅 소견, CT 혹은 MRI 촬영 등으로 진단한다. 급성기에는 색에 대한 동공 반응이 광 자극에 대한 동공 반응보다 훨씬 장애가 심한데, 이런 현상은 다발성 경화증 환자에서 더 두드러진다.
* 우토프 징후 (Uhthoff's sign) : 운동을 하거나 더운 물로 목욕한 후 체온이 올라가거나 정신적 스트레스를 받으면 시력이 나빠지는 현상을 말한다. 다발성 경화증 환자에서 주로 나타나는데, 시신경염을 앓은 후 또는 레베르 유전 시신경병증 환자에게 나타나기도 한다. 이에 대해 체온이 올라가면 축삭 전달이 나빠지고 또 축삭 전달을 방해하는 화학 물질이 나온다는 등의 가설로 설명하고 있다. 탈수초화된 신경은 체온 변화와 주위 대사 변화에 민감하기 때문이다.
* 우토프 징후 (Uhthoff's sign) : 운동을 하거나 더운 물로 목욕한 후 체온이 올라가거나 정신적 스트레스를 받으면 시력이 나빠지는 현상을 말한다. 다발성 경화증 환자에서 주로 나타나는데, 시신경염을 앓은 후 또는 레베르 유전 시신경병증 환자에게 나타나기도 한다. 이에 대해 체온이 올라가면 축삭 전달이 나빠지고 또 축삭 전달을 방해하는 화학 물질이 나온다는 등의 가설로 설명하고 있다. 탈수초화된 신경은 체온 변화와 주위 대사 변화에 민감하기 때문이다.
== 감별 진단 ==
=== 나이와 성별 ===
고령 환자에게 체중 감소, 근육통, 피로, 측두부 (temporal) 통증과 동반된 급성 시력 감소가 나타나면 [[동맥염성 허혈 시신경병증]]부터 감별해야 한다. 젊은 사람에게는 [[레버 유전 시신경병증]] (이하 LHON), 시신경염이 호발하지만, 60대 이후에도 발생할 수 있다. 성별에 따른 차이로는 시신경염이 여자에서 많고, 레버 유전 시신경병증은 남자에서 호발한다.
=== 시력 저하의 양상 ===
* 한눈/두눈 침범 : 시신경염이나 허혈 시신경병증은 한 눈이 침범되는 경우가 많고, 시신경 척수염일 때는 두눈 동시에 또는 1개월 이내 간격으로 시신경염이 생기는 경우가 많다. 상염색체 우성/열성 시신경병증과 독성 시신경병증은 두눈을 매우 비슷하게 침범하는 경우가 많다. LHON은 두눈에 동시에 생기는 경우는 적고 한눈씩 차례로 침범하는 경우가 많다. 자가 면역 질환과 관련된 시신경염은 두눈에 동시에 생기는 경우가 많고, 한눈 시력 저하를 호소하지만 반대눈도 이미 시신경 위축을 보이는 경우가 많다.
* 환자의 호소 : 시신경병증 환자는 뿌옇다, 흐려 보인다, 막을 씌운 것 같다, 군데군데 가려 보인다는 호소를 많이 하고, 망막병증 환자는 변형시를 호소하는 경우가 많다.
* 시력 저하 발생 양상 : 갑자기 시력이 저하되었구나 아침에 일어나니 안보였다면 허혈 시신경병증일 가능성이 높다. 시력이 떨어진 날짜를 알 수 있고, 며칠 사이에 저하되었다면 시신경염에 보다 부합하고, 날짜를 이야기하기 어려우나 수 주에 걸쳐 시력이 저하되었다면 LHON에 가깝다. 발생 시기를 모르거나 우연히 발견하였다면 뇌종양 등에 의한 압박 시신경병증, 에탐부톨에 의한 독성 시신경병증, 상염색체 우성/열성 시신경병증, 녹내장, 망막 질환인 경우가 많다. 그러나 서서히 진행하는 압박 시신경병증이나 독성 시신경병증 환자도 어느날 삽자기 시력 저하를 인지할 수 있으므로 자세한 병력 청취가 필요하다. 기능성 시력 감소 환자도 정확한 날짜를 말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기능성 시력 감소는 시신경병증으로 의뢰되었거나 타 병원에서 시신경병증으로 진단받았으나 아니었던 경우 중 가장 많은 원인이었다.
== 비동맥염성 앞허혈 시신경병증 (NAION) 과의 감별 ==
== 비동맥염성 앞허혈 시신경병증 (NAION) 과의 감별 ==
[[비동맥염성 앞허혈 시신경병증#시신경염 과의 감별|비동맥염성 앞허혈 시신경병증 - 시신경염과의 감별]] 참고
[[비동맥염성 앞허혈 시신경병증#시신경염 과의 감별|비동맥염성 앞허혈 시신경병증 - 시신경염과의 감별]] 참고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