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검사 및 진단) |
잔글 (→시력 저하의 양상) |
||
33번째 줄: | 33번째 줄: | ||
* 환자의 호소 : 시신경병증 환자는 뿌옇다, 흐려 보인다, 막을 씌운 것 같다, 군데군데 가려 보인다는 호소를 많이 하고, 망막병증 환자는 변형시를 호소하는 경우가 많다. | * 환자의 호소 : 시신경병증 환자는 뿌옇다, 흐려 보인다, 막을 씌운 것 같다, 군데군데 가려 보인다는 호소를 많이 하고, 망막병증 환자는 변형시를 호소하는 경우가 많다. | ||
* 시력 저하 발생 양상 : 갑자기 시력이 저하되었구나 아침에 일어나니 안보였다면 허혈 시신경병증일 가능성이 높다. 시력이 떨어진 날짜를 알 수 있고, 며칠 사이에 저하되었다면 시신경염에 보다 부합하고, 날짜를 이야기하기 어려우나 수 주에 걸쳐 시력이 저하되었다면 LHON에 가깝다. 발생 시기를 모르거나 우연히 발견하였다면 뇌종양 등에 의한 압박 시신경병증, 에탐부톨에 의한 독성 시신경병증, 상염색체 우성/열성 시신경병증, 녹내장, 망막 질환인 경우가 많다. 그러나 서서히 진행하는 압박 시신경병증이나 독성 시신경병증 환자도 어느날 삽자기 시력 저하를 인지할 수 있으므로 자세한 병력 청취가 필요하다. 기능성 시력 감소 환자도 정확한 날짜를 말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기능성 시력 감소는 시신경병증으로 의뢰되었거나 타 병원에서 시신경병증으로 진단받았으나 아니었던 경우 중 가장 많은 원인이었다. | * 시력 저하 발생 양상 : 갑자기 시력이 저하되었구나 아침에 일어나니 안보였다면 허혈 시신경병증일 가능성이 높다. 시력이 떨어진 날짜를 알 수 있고, 며칠 사이에 저하되었다면 시신경염에 보다 부합하고, 날짜를 이야기하기 어려우나 수 주에 걸쳐 시력이 저하되었다면 LHON에 가깝다. 발생 시기를 모르거나 우연히 발견하였다면 뇌종양 등에 의한 압박 시신경병증, 에탐부톨에 의한 독성 시신경병증, 상염색체 우성/열성 시신경병증, 녹내장, 망막 질환인 경우가 많다. 그러나 서서히 진행하는 압박 시신경병증이나 독성 시신경병증 환자도 어느날 삽자기 시력 저하를 인지할 수 있으므로 자세한 병력 청취가 필요하다. 기능성 시력 감소 환자도 정확한 날짜를 말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기능성 시력 감소는 시신경병증으로 의뢰되었거나 타 병원에서 시신경병증으로 진단받았으나 아니었던 경우 중 가장 많은 원인이었다. | ||
=== 색각 === | |||
시신경염은 시력 장애보다 색각 이상이 심하므로, 상대적으로 색각 이상이 경미한 허혈 시신경병증과 감별하는 데 도움이 된다. 특히 경도의 허혈 시신경병증으로 시력이 경미하게 떨어진 경우 색각은 정상일 때가 많다. | |||
=== 시야 === | |||
* 시신경염 : 중심부를 포함하여 광범위한 암점을 보이는 경우가 많다. | |||
* 허혈 시신경병증 : 수평 시야 결손이나 궁상 암점이 특징적이다. | |||
* LHON : 95% 이상에서 중심 암점이나 주시점 맹점 암점 (cecocentral scotoma) 으로 시작하여 점점 암점이 커진다. | |||
* 황반부 이상, 상염색체 우성/열성 시신경병증, 독성 시신경병증 : 진행하면서 중심 암점이나 주시점 맹점 암점을 보인다. | |||
* 시신경 교차 병변 : 수직 경선을 따르는 양이측 반맹이나 사분맹을 보이는 경우가 많은데, 압박이 오래되면 두눈 비측섬을 보일 수 있다. | |||
* 시신경 교차 이후의 시각 경로 병변 : 수직 경선을 따른다. | |||
* 꾀병 : 주변부 시야가 협착되어 중심섬 (central island) 을 보이는 경우가 많다. | |||
== 비동맥염성 앞허혈 시신경병증 (NAION) 과의 감별 == | == 비동맥염성 앞허혈 시신경병증 (NAION) 과의 감별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