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막 색소변성: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2,504 바이트 추가됨 ,  2021년 8월 23일 (월)
잔글
61번째 줄: 61번째 줄:
== 동반되는 합병증의 치료 ==
== 동반되는 합병증의 치료 ==
=== 백내장 ===
=== 백내장 ===
동반되는 가장 흔한 합병증으로, Pruett 은 338명의 환자 중에 53%에서 후낭하 백내장이 관찰된다고 하였으며 평균 연령은 38.7세라고 하여 연령과 관련된 백내장과 달리 일찍 발병함을 강조하였다.
동반되는 가장 흔한 합병증으로, Pruett 은 338명의 환자 중에 53%에서 후낭하 백내장이 관찰된다고 하였으며 평균 연령은 38.7세라고 하여 연령과 관련된 백내장과 달리 일찍 발병함을 강조하였다. 백내장 대부분 수술 후 주관적인 시기능의 호전을 경험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적극적인 수술이 고려된다. 백내장 수술 후 주관적인 시력의 개선은 남아 있는 망막 기능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데 특히 중심와의 외절 타원 영역이 온전한 경우 우수한 시력 호전을 보고하였다.
 
백내장과 관련된 합병증으로는 섬모체 소대의 약화 (19%), 수정체 후낭 혼탁 (44~45%), 전낭 수축 (10~38%) 의 빈도로 보고되고 있다. 수술 후 과도한 염증 반응 등이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백내장 수술 후 변성의 진행이 가속화되지는 않기 때문에 수술을 망설일 필요는 없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 낭포 황반 부종 ===
자주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되며, 아직 이에 대한 치료 효과를 보는 대규모 무작위 임상시험은 시행된 바 없다. 한 메타 분석에서는 [[탄산 탈수효소 억제제]] (이하 CAI) 를 첫번째 치료 방안으로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황반 부종을 감소시키는 효과와 달리 시력 개선 효과는 연구에 따라 일치하는 결론을 보여주지는 못하고 있다. 42%에서 치료 중단 후에 반발 효과 (rebound effect) 가 보고되는데 이 경우 치료를 재개하면 다시금 황반 부종의 감소 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CAI에 효과가 없을 경우 스테로이드를 사용해볼 수 있다. 한 연구에서는 경구 CAI에 비하여 덱사메타손 임플란트 치료군에서 시력 호전이 우수하였다는 결과를 보고하였다. 양안에 황반 부종이 있는 환자에서 한 눈에만 주사 치료하였던 무작위 임상 시험에서 반대쪽 눈에 비해 유의한 황반 두께 감소와 시력 호전을 보였으나, 반복 치료시 백내장의 진행이 주된 합병증이었다. 여러 연구에서 anti-VEGF 안구내 주사 치료의 효과는 뚜렷하지 않았는데 이는 아마도 효과가 입증된 다른 망막 질환과 달리 RP에서는 안구내 VEGF의 농도가 높지 않은 것과 관련된 것으로 보인다.
=== 기타 망막 질환 ===
동반되는 [[망막앞막]]과 [[황반 원공]] 등의 유리체-황반 견인에 대한 유리체 절제 수술은 일부에서 질병을 막고 해부학적인 호전을 가져올 수 있으나 시력 호전 효과는 불분명한 것으로 보고되어 있어 선별적으로 시행될 수 있다.
{{참고}}
{{참고}}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