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막 색소변성: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1,065 바이트 추가됨 ,  2021년 8월 23일 (월)
잔글
잔글 (→‎치료)
58번째 줄: 58번째 줄:


''MERTK'' 연관 망막 색소변성을 대상으로 임상 1상이 진행되었고 초기 결과에서 6명 중 3명에서 시력의 향상이 있었으나 2년째에 2명에서 소실되었다 (NCT01482195)<ref>Ghazi NG et al. Treatment of RP due to MERTK mutations by ocular subR injection of adeno-associated virus gene vector: results of a phase I trial. ''Hum Genet''. 2016 Mar;135(3):327-43. [https://pubmed.ncbi.nlm.nih.gov/26825853/ 연결]</ref>. ''PDE6B'' 연관 망막 색소변성을 대상으로 AAV2 벡터를 사용하는 임상 1상이 진행 중이다 (NCT03328130).
''MERTK'' 연관 망막 색소변성을 대상으로 임상 1상이 진행되었고 초기 결과에서 6명 중 3명에서 시력의 향상이 있었으나 2년째에 2명에서 소실되었다 (NCT01482195)<ref>Ghazi NG et al. Treatment of RP due to MERTK mutations by ocular subR injection of adeno-associated virus gene vector: results of a phase I trial. ''Hum Genet''. 2016 Mar;135(3):327-43. [https://pubmed.ncbi.nlm.nih.gov/26825853/ 연결]</ref>. ''PDE6B'' 연관 망막 색소변성을 대상으로 AAV2 벡터를 사용하는 임상 1상이 진행 중이다 (NCT03328130).
=== 보조제 복용 ===
고용량 비타민 A 복용은 ERG에서 관찰되는 원뿔세포의 기능 저하를 늦추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고용량의 비타민 A 를 사용할 시에는 간독성, 임산부에서의 기형야 유발, 골다골증 등의 부작용이 발생하지는 않는지 주의가 요구된다. 하루 400mg 의 docosahexanoic acid (DHA) 를 4년간 복용한 결과 X-연관 망막 색소변성 환자에서 원뿔세포 ERG가 적혈구의 DHA 농도와 상관관계가 있다는 보고가 있어, X염색체 관련 망막 색소변성에서 DHA를 보조적으로 사용해볼 수 있다.
=== 세포 치료 ===
망막 전구 세포, 배아 줄기세포, 역분화 줄기세포 등의 세포를 유리체강이나 망막 아래 공간에 주입하는 치료를 의미한다. 세포에 따라 각각의 장단점이 존재한다. 태아 망막 이식편을 망막변성 쥐 모델에 이식하여 중뇌의 상구에서 치료에 따른 반응이 나타났다는 보고가 있으며, VEP의 생성을 관찰한 예도 있다.
== 동반되는 합병증의 치료 ==
== 동반되는 합병증의 치료 ==
=== 백내장 ===
=== 백내장 ===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