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치료) |
잔글 (→보조제 복용) |
||
61번째 줄: | 61번째 줄: | ||
=== 보조제 복용 === | === 보조제 복용 === | ||
고용량 비타민 A 복용은 ERG에서 관찰되는 원뿔세포의 기능 저하를 늦추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고용량의 비타민 A 를 사용할 시에는 간독성, 임산부에서의 기형야 유발, 골다골증 등의 부작용이 발생하지는 않는지 주의가 요구된다. 하루 400mg 의 docosahexanoic acid (DHA) 를 4년간 복용한 결과 X-연관 망막 색소변성 환자에서 원뿔세포 ERG가 적혈구의 DHA 농도와 상관관계가 있다는 보고가 있어, X염색체 관련 망막 색소변성에서 DHA를 보조적으로 사용해볼 수 있다. | 고용량 비타민 A 복용은 ERG에서 관찰되는 원뿔세포의 기능 저하를 늦추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고용량의 비타민 A 를 사용할 시에는 간독성, 임산부에서의 기형야 유발, 골다골증 등의 부작용이 발생하지는 않는지 주의가 요구된다. 하루 400mg 의 docosahexanoic acid (DHA) 를 4년간 복용한 결과 X-연관 망막 색소변성 환자에서 원뿔세포 ERG가 적혈구의 DHA 농도와 상관관계가 있다는 보고가 있어, X염색체 관련 망막 색소변성에서 DHA를 보조적으로 사용해볼 수 있다. | ||
루테인과 제아잔틴은 황반에 존재하는 색소로 산화 손상이나 강한 빛에 의한 광수용체 손상을 막는 효과가 있지만, 우리 몸에서 합성되지 않는다. 따라서 보조제의 추가적인 복용이 도움이 될 수 있는데, 루테인의 복용이 시야 위축의 속도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루 20mg 을 6개월간 복용하였을 때 약 절반의 환자에서 황반 색소의 증가가 관찰되었으나 아직 장기간의 효과에 관련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다. | |||
=== 세포 치료 === | === 세포 치료 === | ||
망막 전구 세포, 배아 줄기세포, 역분화 줄기세포 등의 세포를 유리체강이나 망막 아래 공간에 주입하는 치료를 의미한다. 세포에 따라 각각의 장단점이 존재한다. 태아 망막 이식편을 망막변성 쥐 모델에 이식하여 중뇌의 상구에서 치료에 따른 반응이 나타났다는 보고가 있으며, VEP의 생성을 관찰한 예도 있다. | 망막 전구 세포, 배아 줄기세포, 역분화 줄기세포 등의 세포를 유리체강이나 망막 아래 공간에 주입하는 치료를 의미한다. 세포에 따라 각각의 장단점이 존재한다. 태아 망막 이식편을 망막변성 쥐 모델에 이식하여 중뇌의 상구에서 치료에 따른 반응이 나타났다는 보고가 있으며, VEP의 생성을 관찰한 예도 있다. |